학술논문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신기호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4권 제3호,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prompt engineering in AI-based music creation, focusing on the generative music platform SUNO. By designing prompts based on five variables—genre, instrument, mood, tempo, and technique—I generated and analyzed corresponding 120 audio samples to examine how prompt design affects musical outcomes in school music learning contexts. By using audio feature extr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es such as similarity matrices, clustering, and dimensionality reduction, I found that detailed and well-structured prompts led to distinct and predictable musical results. In particular, prompts sharing key elements such as instrument or technique produced highly similar audio output, while more varied prompts yielded greater diversi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prompt engineering can serve as a pedagogical strategy to guide student creativity, support process-oriented learning, and facilitate reflective music inquiry. Based on its finding, this study lays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educational value of prompt-based AI music creation activities in music education.
영문 초록
이 연구는 생성형 AI 음악 플랫폼인 SUNO를 중심으로, AI 기반 음악 창작학습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교육적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장르, 악기, 분위기, 템포, 구현 방식 등 5가지 변인을 바탕으로 프롬프트를 설계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120개의 음원을 분석하여 프롬프트 설계가 학교 음악교육 맥락에서 음악적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오디오 특성 추출 및 유사도 행렬, 군집 분석, 차원 축소와 같은 정량적 분석 결과, 세부적이고 구조화된 프롬프트가 보다 명확하고 예측 가능한 음악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일한 악기나 구현방식이 포함된 프롬프트에서는 높은 유사성이, 다양한 조합에서는 음악적 다양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적 지식을 통한 지시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학생의 창의성 신장, 과정 중심 학습, 반성적 음악 탐구를 지원하는 교육적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교 음악 교육 현장에서 프롬프트 기반 AI 음악 창작 활동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실증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 음악 교과의 ‘강력한 지식’ 논의에 대한 변증법적 고찰: 맥페일의 ‘개념기반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 Developing the Musical Skill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the Orff Approach
-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Music Educators in Indonesia
-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 Enhancing University Musical Instrument Elective Courses: Integrating Problem-Based and Team-Based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Learning Outcomes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음악창작 교육에서 매개변수형 AI 작곡 수업이 음악 자기효능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