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수진 심수연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4권 제3호, 167~18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backgrounds in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knowledge formation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were tre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PCK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demographic factors as control variables. A total of 138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in Korea complete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CK levels based on the number of gugak courses completed and the inclusion of gugak in daily-life classes. Overall,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positively influenced teachers’ PCK. Specifically, experiential background significantly affected all PCK subdomains, while interpersonal background influenced pedagogical and curriculum knowledge.
영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의 국악 지식 형성 배경이 교수내용지식(PCK)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악 지식 형성 배경을 독립변수로, PCK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성별, 학력, 연수 경험 등의 인구통계학적변인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전국의 중등 음악 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악 과목 이수 수와 생활화 수업 여부에 따라 PCK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국악 지식 형성 배경은 전체 PC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국악 지식 형성 배경의 하위 요인 중 경험적 배경은 모든 하위 요소에, 개인 내적 배경은 교수지식과 교육과정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 음악 교과의 ‘강력한 지식’ 논의에 대한 변증법적 고찰: 맥페일의 ‘개념기반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 Developing the Musical Skill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the Orff Approach
-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Music Educators in Indonesia
-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 Enhancing University Musical Instrument Elective Courses: Integrating Problem-Based and Team-Based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Learning Outcomes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음악창작 교육에서 매개변수형 AI 작곡 수업이 음악 자기효능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