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차동주 오드리 암레인-비어즐리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4권 제3호, 207~2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CBI) was designed to assess burnout, with specific emphases on fatigue and exhaustion as key dimensions. Despite its extensive utilization and well-documented psychometric properties, though, there remains a dearth of knowledge regarding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CBI, especially among music educators. The present study represents the first known examination of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utilizing the CBI-University Faculty (CBI-UF) version. We performed exploratory factor analytical (EFA) methods with a sample of music teacher educators (N = 253). We extracted three empirical factors, accordingly: work and life related burnout, colleague related burnout, and student related burnout with 21-items proving structurally valid and psychometrically sound (Cronbach's alpha = .94).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personal burnout dimensions had a clear demarcation between colleagues and students, and there was an empi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work- and personal- related burnout, reflected in an amalgamated latent factor: work and daily life-related burnout.
영문 초록
코펜하겐 번아웃 척도(Copenhagen Burnout Inventory, CBI)는 피로와 탈진을 핵심 차원으로 하여 번아웃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이 척도는 폭넓게 활용되어 왔으며, 그 심리측정학적 특성이 다수의 선행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음악 교육자를 대상으로 한 구조 타당도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CBI의 대학 교수용 척도(CBI–University Faculty; CBI-UF)을 활용하여 음악 교사 교육자의 번아웃을 측정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사 교육자 253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EFA)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업무 및 일상생활 관련 번아웃, 동료 관련 번아웃, 학생 관련 번아웃의 3개의 실증적인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 세 요인은 총 2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조적으로 타당하고 심리측정학적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ronbach's alpha = .94). 분석 결과, 대인 관계적 번아웃 차원에서는 ‘동료’와 ‘학생’에 대한 번아웃이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업무와 개인 생활에 관한 번아웃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업무 및 일상생활 관련 번아웃’이라는 하나의 잠재 요인으로 통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and Implications
VI.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 음악 교과의 ‘강력한 지식’ 논의에 대한 변증법적 고찰: 맥페일의 ‘개념기반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 Developing the Musical Skill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the Orff Approach
-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Music Educators in Indonesia
-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 Enhancing University Musical Instrument Elective Courses: Integrating Problem-Based and Team-Based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Learning Outcomes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음악창작 교육에서 매개변수형 AI 작곡 수업이 음악 자기효능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