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이용수 9
- 영문명
- Exploring the Components of Digital Literacy for Music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영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제54권 제3호, 231~26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교육 현장은 정보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하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원격교육이 확대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교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역량 중 하나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탐색하여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일반 및 교사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와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소는 크게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해 및 활용, 디지털 윤리 및 안전, 디지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디지털 환경에서의 소통 및 참여, 음악 수업에서의 디지털 활용 역량의 5개 요소로 나눠 13개 하위요소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구성요소는 음악교사의 역량이나 수업 전문성 기준 개선 또는 음악교사 연수 프로그램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폭넓은 전문가 그룹의 면담이나 델파이조사 등의 추가 작업을 통해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체계를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advanced rapidly and remote education has expand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digital literac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ssential competencies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rive elements that constitute music teachers' digital literacy. The components of music teachers’ digital literacy were proposed by defining its concept and analyzing components of general digital literacy, components of teacher digital literacy, and technological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he components of music teachers' digital literacy are largely divided into five following elements: understanding and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digital ethics and safety, digit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digit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and digital music teaching competency use in music. 13 sub-elements were derived from these five elements.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improve music teachers' professional standards and develop in-service programs for music teachers. Eventually, study findings may lead to improvements in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Also, it is hoped that follow-up research will involve broader expert interviews or a Delphi study to develop a framework for music teachers’ digital literacy.
목차
Ⅰ. 서론
II.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적 정의
III.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분석
IV. 음악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요소 제안
V. 나가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 음악 교과의 ‘강력한 지식’ 논의에 대한 변증법적 고찰: 맥페일의 ‘개념기반 교육과정’ 중심으로
- Prompt Engineering for AI Music Creation Learning: Application and Analysis Using SUNO AI
- Developing the Musical Skill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through the Orff Approach
-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grounds in Gugak Knowledge Formation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Secondary Music Teachers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College Entrance Performance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Prospective Music Educators in Indonesia
- Measuring U.S. Music Teacher Educator Burnout: A Validation Study of the Copenhagen Burnout Inventory
- Enhancing University Musical Instrument Elective Courses: Integrating Problem-Based and Team-Based Learning Models for Improved Learning Outcomes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음악교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 탐색
-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과 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 초등 음악창작 교육에서 매개변수형 AI 작곡 수업이 음악 자기효능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 소리의 미적 속성과 음악적 경험의 수준: 존 듀이와 그 밖의 미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