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integration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미영 김남희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71~1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통합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G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54명을 대상으로 통합 필요성, 평가 주체, 평가 내용, 평가 절차, 결과 공개 및 활용, 정책 지원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교육과 보육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평가체계 통합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평가 주체는 원내 교직원과 외부평가자의 혼합 구성을, 평가 주관 기관으로는 새로운 독립기구 설치를 선호하였다. 평가 내용은 구조적 질은 국가 수준 공통지표, 과정적 질은 국가 수준 공통지표를 기준으로 하되 자율지표 선택이 가능한 방식을 선호하였다. 평가 절차는 사전컨설팅(선택)→자체평가→결과 공개→사후컨설팅(필수) 순서를 선호하였으며, 평가 결과 공개는 평가 요약 보고서 형태가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교사들은 평가 결과의 실질적 활용을 위해 기관별 차년도 교육계획 수립 및 교육활동 개선 등에 활용하고, 맞춤형 컨설팅 지원과 평가 업무 경감을 위한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통합된 평가체계는 현장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유연한 구조로 설계되어야 하며, 지역별 특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자율 평가 항목 구성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의 인식에 기반하여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ing evaluation systems for early childhood-education institutions in preparation for the integration of childcare and education,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integr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354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integration need evaluation subjects, evaluation content, evaluation procedures, result disclosure and utilization, and policy support measur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teachers agreed on the need of integrating evaluation systems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education and childcare. Teachers preferred a mixed composition of internal staff and external evaluators as evaluation subjec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dependent organization as the evaluation supervisory body. For evaluation content, they preferred structural quality to be based on national-level common indicators, while procedural quality should be based on national-level common indicators but allow for the selection of autonomous indicators. The preferred evaluation procedure was pre-consulting (optional) → self-evaluation → result disclosure → post-consulting (mandatory), They responded that evaluation summary reports were the most appropriate form for result disclosur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to utilize evaluation results for establishing annual educational plans and improving educational activities for each institution, as well as providing customized consult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reduce evaluation workload. The integrate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designed with a flexible structure that respects field diversity and autonomy, and should reflect autonomous evaluation- item composition to ensure regional specific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학습 간 갈등과 실천적 고민 탐색
- 어린이집 영아반 교육공동체의 교란과 조응 읽기
-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 영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속 반려동물 묘사의 의미 탐색
-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6년~2025년을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공동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제주 신화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연구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상황에서의 어휘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