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상황에서의 어휘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Vocabulary analysis in social and emotional situations of young children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민선옥 임미선 민혜정 조유선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81~2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정서발달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사회정서 그림책과 유아 면담을 중심으로 사회정서 어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구어적 텍스트와 문어적 텍스트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유아가 사회·정서적 맥락에서 자주 사용하는 어휘와 그림책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어휘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총 2,311개의 사회·정서적 어휘를 분석하여 주요 대표어휘를 도출하였다. 둘째, 빈도 분석 결과, ‘하다’가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로 확인되었다. 셋째, ‘하다’와 동시출현 빈도가 높았던 단어 쌍 중 하나는 ‘친구’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들이 친구와 함께 놀이를 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며,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친구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또래와의 상호작용과 놀이 같은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ocial-emotional vocabulary based on social-emotional picture books and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This analysis aimed to establish basic data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social-emotional development. We systematically collected spoken and written data from young children. Then we used text mining techniques to compare and analyze children`s frequently used vocabulary in social and emotional contexts with the vocabulary frequently appearing in picture boo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2,311 social and emotional vocabulary words were extracted by part of speech to derive a set of representative words. Second, the 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among these was found to be “to do”. Third, the word pair that co-occurred most frequently with “to do” was “friend”. An analysis of the original text revealed that young children recognize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regulate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and integrate social skills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through pla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orting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requires providing them with experiences such as peer interaction and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학습 간 갈등과 실천적 고민 탐색
- 어린이집 영아반 교육공동체의 교란과 조응 읽기
-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 영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속 반려동물 묘사의 의미 탐색
-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6년~2025년을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공동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제주 신화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연구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상황에서의 어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요약본] 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 [요약본] IPA 분석을 활용한 육아지원정책 탐색 연구: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요약본] SNS에 나타난 애착인형 관련 담론 분석: 부모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