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6년~2025년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the 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directors: An analysis from 2016 to 2025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남미경 안미화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최근 10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관련 논문 117편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리더십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원장 리더십에 관한 논문은 2019년부터 2021년 사이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 대상별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원장, 원감 순이었다.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리더십 유형별로는 감성 리더십에 관한 관심이 가장 높았고, 이어서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진정성 리더십, 코칭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등 다양한 리더십 유형이 연구되었다. 마지막으로, 원장 리더십 연구의 관련변인으로는 교사의 직무만족이나 효능감 등 개인적 요인이 가장 많았고, 조직적 요인,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원장 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현장 중심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117 research articles on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 (KCI)-accredited and candidate journals from 2016 to 2025, with the intention of suggesting effective leadership pract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on principal leadership were published between 2019 and 2021. Regarding research subjects, studies focusing on teacher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ose on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predominated. Regarding leadership types, emotional leadership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ollowed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uthentic leadership, coaching leadership, ethical leadership and various other leadership types. Concerning related variables, individual factors such as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whereas relatively fewer studies addressed psychological factor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incipals’ leadershi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field-oriented leadership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학습 간 갈등과 실천적 고민 탐색
- 어린이집 영아반 교육공동체의 교란과 조응 읽기
- 유보통합에 대비한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 통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비교
- 영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가족 속 반려동물 묘사의 의미 탐색
- 유아교육기관 원장 리더십 관련 연구동향 분석 -2016년~2025년을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이 공동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제주 신화 그림책에 대한 유아들의 반응 연구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상황에서의 어휘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요약본] 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 [요약본] IPA 분석을 활용한 육아지원정책 탐색 연구: 영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요약본] SNS에 나타난 애착인형 관련 담론 분석: 부모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