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23~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e study aim was to assess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n motor function enhancement in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ethods: We searched the PubMed and Scopus databases for releva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ublished before February 2023.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scale. Fourte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370 (95% CI [0.268, 0.472], p < .05), indicating a small but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or function after tDC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effect size was 0.340 (95% CI [−0.099, 0.778], p > .05), indicating a nonsignificant impact. Lower limb motor function had an effect size of 0.171 (95% CI [−0.047, 0.390], p > .05), also nonsignificant. However, upper limb motor func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size of 0.431 (95% CI [0.312, 0.551], p < .05), indicat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following tDCS.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DCS improved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particularly in the upper limbs. These findings support its potential role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stroke rehabilitation.
영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경두개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3년 2월까지 발표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PubMed 및 Scopus 데이터베이스를활용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는 PEDro 척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4편의연구가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결과: 전체 운동 기능에 대한 효과크기는 0.370(95% CI [0.268, 0.472], p < .05)으로 작지만 유의한향상이 나타났다. 일상생활활동(ADL)에 대한 효과크기는 0.340(95% CI [−0.099, 0.778], p > .05), 하지 운동기능은 0.171(95% CI [−0.047, 0.390], p > .05)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지 운동기능에대해서는 효과크기 0.431(95% CI [0.312, 0.551], p < .05)로 유의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메타분석 결과는 tDCS가 뇌졸중 환자의 전반적인 운동기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으며, 특히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뇌졸중 재활 중재로서tDCS 활용 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n pain and fear during intravenous cann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