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Shoulder Anterior and Posterior Glide on Shoulder Pain, Upper Extremity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곽영환 박동환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95~10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어깨 전방, 후방 활주는 어깨 통증을 감소시키고 상지기능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의목표는 만성 뇌졸중 후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대한 6주간의 어깨전방 및 후방 활주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참가자는 어깨 활주(n = 15) 그룹 또는 어깨 스트레칭(n = 15) 그룹으로 무작위로 배정되었다.각 그룹은 6주 동안 주 5회씩 어깨 활주와 어깨 스트레칭을 3세트 수행했다. 각 세트는 15회 반복으로구성되었다. 6주간의 훈련 후 숫자 평가 척도(NRS),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MFT), 박스 앤 블록 테스트(BBT), 한국식 수정 바델 지수(K-MBI) 및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평가(SSQoL)를 측정했다.
결과: 6주간의 훈련 후, 어깨 활주 그룹은 중재 전과 비교하여 모든 결과 측정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p < .05). 나아가 어깨 통증, 상지기능, 삶의 질은 어깨 스트레칭 그룹과 비교하여 어깨 활주 그룹에서 더큰 개선을 보였다(p < .05).
결론: 이 연구는 어깨 활주가 만성 뇌졸중 후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을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study aim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 six-week shoulder gliding program (anterior and posterior mobilization) on shoulder pain, upper limb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quality of life among individuals in the chronic post-stroke period.
Methods: Thir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houlder gliding group (n = 15) or shoulder stretching group (n = 15). Both groups completed exercises fiv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with three sets of 15 repetitions per session.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for pain, Manual Function Test (MFT), Box and Block Test (BBT), Korean-Modified Barthel Index (K-MBI), and Stroke-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 scale, which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shoulder glid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outcome measures compared to the baseline scores (p < .05). Furthermore, greater improvements in shoulder pain, upper limb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observed in the shoulder gliding group than in the stretching group (p < .05).
Conclusion: Shoulder gliding exercises were effective in reducing pain and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AD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n pain and fear during intravenous cann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