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이용수  6

영문명
Analysis of Lifestyle Pattern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Utilizing Latent Class Analysis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김아람 김희정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63~7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통해 생활습관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의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1년 한국의료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고령자 3,724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주요 변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생활습관(신체활동, 만성질환, 흡연, 음주, 스트레스, 체질량지수, 주관적 건강) 요인이며,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생활습관 유형을 도출하고, 각 유형 간의 차이를 카이제곱 검정 및 효과 크기(Cramér’s V)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잠재계층분석(LCA) 결과, 고령자의 생활습관은 4개의 유형(안정형, 균형형, 취약형, 위험추구형)으로분류되었다. 각 유형은 생활습관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1), 특히 흡연과 음주, 주관적건강 인식이 주요 구분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형 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도 연령, 성별, 교육 수준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고령자의 생활습관은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 간 건강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행태가 상호 연관된 클러스터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유형별 맞춤형 건강증진 중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lifestyle patterns among older adul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dentified class. Methods: Data from the 2021 Korea Health Panel Study—targeting 3,724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were used. The key variables were demographic factors and lifestyle-related factors, such as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stress, body mass index, and subjective health. Lifestyle types were derived using LCA, and differences among classes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s and Cramer’s V for effect size. Results: Four lifestyle classes of older adults were identified using LCA: Stable, Balanced, Vulnerable, and Risk-seek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lifestyle variables (p < 0.01), with smoking, alcohol use, and subjective health being the most significant distinguishing factors. Additionally, demographic differences, such as age,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were observed across classes. Conclusion: Older adults’ lifestyl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distinct types, each with meaningful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behaviors tend to cluster, highlighting the need for tailored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based on lifestyle typ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람,김희정. (2025).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재활치료과학, 14 (3), 63-77

MLA

김아람,김희정.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재활치료과학, 14.3(2025): 6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