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12
- 영문명
-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f Community Re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Stroke
- 발행기관
-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성원 김동휘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9~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방법, 평가도구,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 수집은 국외 데이터베이스인 Scopus,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MEDLINE를 활용하여 수행되었다. 검색 시 연구 기간의 제한은 두지 않았으며, 사용된 검색어는 (“community reintegration” OR “social reintegration” OR “return to community”) AND (“stroke” OR “CVA” OR “post-stroke”) AND (“intervention” OR “practice” OR “training” OR “education” OR “program” OR “learning” OR “activity”)였다. 선정 기준과 배제 기준에 따라 관련 5편의 연구를 최종 선정하였다.
결과: 선정된 연구들은 대부분 높은 질적 수준과 중등도 수준의 비뚤림 위험으로 평가되었으며, 지역사회 복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로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RNLI)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중재는 신체 기능, 인지 훈련, 환경 수정, 자기 관리 교육 등이 개인 또는 집단 단위로 제공되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고한 연구는 1편, 실험군 내 유의미한 향상을 보고한 연구는 4편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 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중재의 개발과 연구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에는 중재의 효과 크기를 검증할 수 있는 메타분석 연구와 함께, 국내의 제도적⋅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study aim was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methods, outcome measures,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reintegration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stroke.
Methods: Studies were conducted using international databases, including Scopus, PubMed, Embase, Web of Science, and MEDLINE. No restrictions were placed on the publication year. The search terms were (“community reintegration” OR “social reintegration” OR “return to community”) AND (“stroke” OR “CVA” OR “post-stroke”) AND (“intervention” OR “practice” OR “training” OR “education” OR “program” OR “learning” OR “activity”). Five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Most of the selected studies had high methodological quality and presented a moderate risk of bias.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RNLI)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measure. Among the included studies, one study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hile four studies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intervention groups.
Conclusion: This review provides foundation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hat support community reintegration among stroke survivors. Further research should incorporate meta-analyses to evaluate effect sizes and prioritize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tailored to domestic policies and cultural contex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고령자의 생활습관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복귀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초등학교 적응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작업 수행과 소동작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어깨 전후방 활주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어깨 통증,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rmotherapy and cryotherapy on pain and fear during intravenous cannul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