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이용수  12

영문명
Interventions to Promote Mental Health and Reduce Stress Among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저자명
민원상 신하경 윤하정 박지혁
간행물 정보
『재활치료과학』제14권 제3호, 45~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목적으로 한 중재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유형, 사용된 평가도구, 중재 구성 요소 및 효과성을 분석하고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근거 기반의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문헌을 PubMed, MEDLINE, Web of Science, Embase를 활용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 “caregiver”, “stress management”, “ment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이며, PRISMA 지침에 따라 문헌을 선별하고 선정 및 배제 기준을 적용하여 총 10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에 포함하였다. 결과: 최종 포함된 10편의 문헌은 중재의 유형에 따라 Mindfulness 기반(4편), Emotion & Relationship 기반(3편), Parent Training 기반(2편), Psychoeducation 기반(1편)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연구에서는 보호자의 심리적 스트레스, 정서적 안정성, 우울 및 불안 수준, 삶의 질, 자기효능감, 양육 자신감, 자녀와의 상호작용 경험 등을 평가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중재는 보호자의 정서적 회복과 스트레스 감소, 긍정적인 양육 태도 형성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의 향상 등 중재 구성 요소의 효과성 또한 보고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중재가 정신건강 증진,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보호자의 심리⋅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치료 중재의 임상적 필요성과 확장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mote mental health, reduce stress, and identify intervention types, outcome domains, core components of intervention, and their effectiveness within the contex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PubMed, MEDLINE, Web of Science, and Embase databases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4. Search terms includ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regiver,” “stressmanagement,” “mental health,” and “intervention.” Based on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guidelines and selection criteria, 10 studies were included. Results: The selected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Mindfulness-based, Emotion & Relationship-based, Parent Training-based, and Psychoeducation-based. Outcome domains included psychological stress, emotional stability, depression, anxiety,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parenting confidence, and caregiver-child interaction. Most interventions demonstrated positive results. Conclusion: Th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caregiver-focused interventions in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highlight the clinical relevance and potential of occupational therapy for addressing the psychosocial needs of caregiv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민원상,신하경,윤하정,박지혁. (2025).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재활치료과학, 14 (3), 45-61

MLA

민원상,신하경,윤하정,박지혁. "발달장애 자녀를 둔 보호자의 정신건강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 체계적 고찰." 재활치료과학, 14.3(2025): 4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