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수자 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Z세대 예비유아교사 대상 수업 개선 탐색
이용수 67
- 영문명
-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instruction for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llege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오지영 김유화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2호, 197~21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5학년도 신입생 대상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두 대학 교수자가 협력하여 Z세대 예비유아교사의 학습 특성을 반영한 학습전략을 공동 설계해 실행한 협력적 실 행연구이다. Mills(2003/2005)의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계획–실행–평가’의 순환 과정을 거쳐, 놀 이 기반의 학습전략 수업을 도입하고 그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소 재 두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1학년 학생(122명)과 해당 교과를 담당한 교수자 2인이다. 자료 수 집은 수업 주차별 개방형 설문, 교수자 저널, 자체 평가회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질적 분석을 통해 주요 범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놀이 기반 학습전략은 학생들의 학습 참여를 유도하고 흥 미와 몰입을 높였으며, 정적·동적 활동의 균형을 통해 수업 집중과 활력을 유지하게 하는 데 효과 적이었다. 학생들은 다양한 놀이 기반 활동을 통해 개념을 습득하며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을 쌓 았으며 삶과 학습을 연결하는 기회를 가졌다. 그룹 기반 활동은 학생 간 사회적 교류를 촉진했고, 교수자들은 협력적 수업 설계와 성찰을 통해 학습자의 성장에 동행하는 실천가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단위 대학의 자원 한계를 극복하여 수업의 질 향상과 교수자의 전문 성 성장을 동시에 가능케 함으로써, 고등직업교육의 공유 성장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wo faculty members to improve classes for freshmen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Two faculty members co-designed and implemented learning strategies tailored to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uided by Mills’ (2003/2005) action research model, the study followed a cyclical process of planning, action, and evaluation, introducing activity-based learning and then examined its impact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Participants included first-year students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t two colleges in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the two faculty members in charge of the cour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ekly open-ended surveys, instructor journals, and self-evaluation meetings, and key themes were deriv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findings showed that play-based learning strategies enhanced student participation, engagement, and concentration, while balancing static and dynamic activities sustained vitality in class. Students not only acquired concepts and experienced self-directed learning but also connected learning with their lives. Group-based activities promoted social interaction, and the professors strengthened their identities as practitioners accompanying student growth through collaborative course design and reflec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overcoming the resource limitations of individual colleges can simultaneously enhance teaching quality and foster faculty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by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a shared growth model in higher vocation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