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이용수  51

영문명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their support need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권수현 최정아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2호,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상은 부산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 사 244명으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서술형 문항을 포함하여 설문 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 인 식은 낮았으나 필요성 인식은 높았으며, 상호문화역량이 필요한 이유는 다양한 문화를 존중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자기 수준 진단 정도는 보통 수준 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성향 및 다양한 문화에 대한 관심 유무에 의해 진단하였다는 이유가 가장 많 았다. 셋째, 상호문화역량을 위한 지원 요구는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기초교육, 다양한 문화에 대한 체 험과 실천 중심의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 필요성에 대한 인식 이 적극적인 상호문화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용어 정의 및 개 념 기초교육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되 사례 중심 실천 연수와 체험 활동을 통해 보육교사가 느끼고 있는 상호문화역량 필요성을 구체적 역량으로 전환할 수 있는 단계적 연수 설계 도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strategies for foster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by examining their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The participants were 244 childcare teachers employed at daycare centers in Busa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thgouh a survey incorporating both closed and open-ended items to capture teachers’ awareness, self assessments, and training need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although teachers demonstrated relatively low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intercultural competence, they highly acknowledged its necessity, primarily citing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diverse cultures. Second, teachers’ self-evaluations reflected a moderate level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ith assessments largely shaped by individual disposiitons and personal interest in cultural diversity. Third, the most pressing professional need identified was foundational education on intercultural competence, accompanied by a strong demand for experiential and practice oriented trai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support teachers in transforming their perceived necessity for intercultural competence into practical capacity. Specific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viding foundational conceptual training followed by case-based and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a ph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수현,최정아. (2025).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 (2), 5-29

MLA

권수현,최정아. "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2(2025):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