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
이용수 73
- 영문명
- 3 to 5-year-ol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박규리 정혜욱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2호, 55~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 구대상은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 중인 3~5세 학급을 담당하는 교사 213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유아교사가 유아 인성교육에 그림책이 활용될 필요 가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 인성교육에서 그림책이 갖는 이점은 접근의 용이 함과 유아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이었으며, 유아교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을 유 아의 감정 및 행동조절 능력의 발달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했다.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에서 가장 중 요한 유아교사의 역할은 적절한 방식으로 그림책을 읽어주고 활용하는 것이었다. 둘째, 그림책을 활 용한 인성교육은 월 2회 실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집단활동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유아교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을 실천하는 것에 대해 크게 어려움이 없었으며, 교사교육 을 통해 그림책 선정 기준 및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알기를 요구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인성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그림책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the use of picture books for charact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13 teachers responsible for classes of children aged 3 to 5 years, in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Early childhood teachers valued picture books for their accessibility and ability to engage children, and believe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is effective in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control.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s was seen as reading and utilizing picture books in an appropriate manner. Second, character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was most commonly implemented twice a month, primarily in the form of group activities. Early childhood teachers generally did not perceive this practice as challenging. But, they expressed a desir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articularly in selecting appropriate picture books and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goals and values of charact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utilizing picture books to promote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