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에서 나타나는 3세 유아의 우정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friendships of three-year-old children emerging through play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이솔아 엄정애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2호, 111~1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3세 유아들이 놀이 안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우정 관계를 시작하고, 시간 이 지남에 따라 우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 었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시 K유치원 3세 하늘반 남아 4명이며, 연구자는 담임 교사로서 2024년 3월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결 과, 하늘반 유아들의 우정은 즉각적인 공감대, 맹목적인 애정, 범람하는 재미와 같은 정서 적 경험을 계기로 시작되었고,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정은 안정성, 구속성, 유연성과 같은 특징을 드러내며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처럼 하늘반 3세 유아는 친구와 함께 감 정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깊이 있는 정서적 유대감을 만들어갔다. 본 연구는 3세 유 아 또한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의미 있는 우정을 형성하고 지속할 수 있는 사회적 존재임을 보여주었으며, 유아기 초기 친구 관계를 이해하고 교육적으로 지원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d the emergence and develop,ent of friendships among three-year-old children during play. The participants were four boys in the “Sky” class of K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Serving as their homeroom teacher,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over an eight-month period (March November 2024). Findings indicate that the children’s friendships began with emotionally charged experiences—immediate shared interests, unreserved affection, and overflowing fun— and subsequently developed into three distinct trajectories: stability, exclusivity, and flexibility. Throughout this process, the three-year-olds engaged in shared play and exchanged emotions, engaged in rich interactions, and forged deep emotional bonds. The finding demonstrates that even at age three, children are capable of forming and sustaining meaningful friendships within their peer group. By illuminating the early dynamics of friendship formation, the research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educators seeking to understand and support positive peer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탐구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탐구 의미 재구성과 수업 설계에 대한 함의
- 말더듬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가출 청소년에게 ‘집’이란 어떤 곳인가?: 중학생 때 가출한 후기 청소년의 ‘집’의 장소성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