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훈대상자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운영 모형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ed a Model for Piloting a Health Home for Veterans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저자명
- 김태열 신은숙
- 간행물 정보
- 『한국보훈논총』제24권 제2호,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3년도 국가보훈부 지원사업으로 보훈대상자들을 위한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운영 모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보훈대상자의 의료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국내외 유사 제도 사례를 검토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실제 적용 가능한 건강주치의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는 첫째, 보훈대상자의 응급실·입원, 외래 진료 횟수, 연간 의료비를 예측할 수 있는 통계 및 머신러닝 기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로지스틱 회귀, 포아송 회귀, 로그-선형 회귀 모델을 활용하고, 변수 정규화를 통한 머신러닝 기반 예측 성능 비교도 수행하였다. 둘째, 보훈대상자 건강주치의 제도의 시범사업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운영안이 제시되었다. 시범사업 지역 선정은 보훈대상자 밀집도, 지역 내 의료자원 접근성, 만성질환 유병률 등을 기준으로 하며, 대상자는 만성질환 보유 여부, 고령 여부 등을 고려해 선별하도록 하였다. 참여 기관은 동네 의원 중심으로 구성하되, ICT 인프라가 갖춰진 기관을 우선 고려하였다. 셋째, 시범사업 효과 평가를 위해 의료기관별 정책효과 분석 모델을 함께 제안하여 사업의 객관적 성과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운영 모델은 보훈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의료비 절감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보훈대상자 맞춤형 주치의 제도 설계에 실질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국가 보훈 의료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ilot project operation model for health physicians for veterans as a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Veterans Affairs in 2023. After analyzing the actual medical usage of veterans and reviewing the cases of similar systems at home and abroad, we proposed a model of a health primary care service that can be applied in practice.
First, the study presented a statistical and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 model that can predict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hospitalizations, outpatient visits, and annual medical expenses of veterans. For this purpose, we used logistic regression, Poisson regression, and log-linear regression models,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ons through variable normalization. Second, a specific operation plan for the pilot project of the health physician system for veterans was presented. The selection of the pilot project area was based on the density of veterans, access to medical resources in the area,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whether they have chronic diseases or are elderly. Participating organizations were organized around neighborhood clinics, but priority was given to those with ICT infrastructure. Thir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ilot project, we proposed a policy effect analysis model for each medical institution to enable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project.
This operating model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veterans' health conditions, reduction of medical costs,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basis for the design of a customized primary care system for veterans and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veterans' healthcare polici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내용 및 방법
III. 보훈대상자 의료이용 현황
IV. 국내 유사 제도 운영사례 심층 검토 및계약주체 모델별 장단점 분석
V. 보훈대상자 건강주치의 운영 모형개발 및이용예측 모형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보훈 콘텐츠 참여 경험이 국민 보훈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보훈대상자 특성에 따른 보훈정책 욕구 분석 및 시사점 연구
-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자료에 기반한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