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yu Seong-ryong’s Thought of ‘Silhak’ and Its Practice
- 발행기관
- 서애학회
- 저자명
- 백권호(Gwon Ho Paik)
- 간행물 정보
- 『서애연구』제1권, 89~140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0
9,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서애 류성룡을 실학사상의 원조라는 논지를 주장하고 증명하는것이 연구 목적이다. 기존의 한국 실학연구에서 그를 경세가로 부르면서도 정작 실학자로 인정하는데 궁색한 것은 350년 후의 후학들이 실학이라는 학문을세우면서 학문적 사조로서 실학자 계보를 구축함에 있어 엄격성을 담보하지못한 태생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학 연구에서성리학적 가치의 배경과 뿌리를 확인한 연구들의 기초위에 징비록에 나타난구체적인 실학적 요소와 에피소드 들을 찾아서 정리한다. 서애 류성룡의 성리학에 바탕을 둔 실학적 정치 경륜은 그의 징비록에서 수많은 업적과 에피소드로 나타나 있다. 징비록이야 말로 류성룡의 실학적인 실사구시적 정치구현을 그대로 보여주는 저술이자, 국가적 위기의 전란 속에서 그가 실천한 정치 현장현장보고서이다. 서애 류성룡은 임진왜란이라는 국난의 비상시기 중에도 이미무너져 내린 국가 체제와 정부 시스템을 작동 가능하도록 혼신을 다하고 있다. 그는 경제는 흐름이고 순환이며 시스템이라는 것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었고, 국경무역을 포함한 시장 메커니즘의 작동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것이작동하도록 정책적 조치들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면천법(免賤 法)을 제정하여 천민도 전공을 세우면 양인(良人)은 물론 벼슬까지 얻을 수 있는 길을 터주어, 비록 전시에 그쳤지만 ‘국민국가’의 초기적 형태라 할 수 있는제도적 개혁이자 혁신을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Ryu Seong-ryong, one of the most renowned premiers in the Chosun Dynasty, empirically developed the real-world policy of action. Towar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he world had already witnesse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mercantile state. Based on Confucianism, Ryu Seong-ryong tried not only to study with a convergent model but also to take a consilience approach with an intense curiosity of other relevant fields of learning. This point shows most clearly in Ryu Sung-ryong’s attempt to complete his own philosophical theory of realism which emphasizes self-guided learning for practicability. His philosophy is based on the Neo-Confucian theory. In specific terms, this article inquires into practical elements and episodes found in the Jingbirok with a view to identifying the roots of traditional Neo-Confucian values in the existing studies on Silhak.
This article will show that Ryus practical political theory rooted in traditional Confucianism informed his practical policies in the real world. In this light, the Jingbirok can be considered a field report on the actual political settings he had experienced during the Imjin War. Ryu was devoted to re-making the national system as well as the government system in a highly innovative way during the crisis of the Imjin War.
Ryu clearly understood that the economy is a flow, a circulation, and a system. In addition, he ha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of market mechanisms including the cross-border trade. He implemented policy measures to make this work. In addition, by enacting the law of manumission from slavery (myoncheonbeop, 免賤法); according to this law, slaves could elevate their status as commoners, and were even granted opportunities to enter public office. Although such policies were abolished toward the end of the war, Ryu’s innovative attempt at’ institutional reforms presaged an early phase of the “national state”.
목차
Ⅰ. 서 론
Ⅱ. 학문으로서 ‘실학’의 재정의 흐름과 류성룡 학문 세계의 관련성
Ⅲ. 류성룡의 철학과 가치관에서 나타난 실학적 뿌리
Ⅳ. 징비록에 나타난 실사구시적 정책추진 및 실천 사례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