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작용모형에 입각한 의무복무 제대군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Needs Analysis for Adapting to College Life of Returning Students after the Military Service
발행기관
한국보훈학회
저자명
황영아 신서윤 정응진
간행물 정보
『한국보훈논총』제24권 제2호, 127~15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의무복무 후 대학으로 복귀한 군 복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Caffarella와 Daffron이 제안한 상호작용모형에 입각하여 맥락확인, 지지기반 구축, 요구 분석, 프로그램 목표 설정, 교수설계, 학습전이 계획, 평가 계획, 형식‧일정 및 인력 관리, 예산 관리, 마케팅 계획, 시설 및 세부 조율 등 11개의 요소에 기반한 군 복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1개 요소별 내용도출을 위해서는 대학의 복학생 지원 프로그램 사례 및 군 복학생 관련 문헌분석, 학습수요자(의무복무 후 제대예정군인 및 군 복학생) 및 이해관계자(대학) 대상 설문조사, 전문가 인터뷰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절차에 따라 군 복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도모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학업·진로·관계 등 다차원적 내용을 포함한 ‘의무복무 제대군인 대학생활 적응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의무복무 후 제대한 복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자기주도적으로 진로개발‧학습계획을 수립하여 이행할 수 있다.’로 제시하였으며, 요소별 분석결과를 토대로 13차시로 구성된 강의 주제와 세부 내용, 수업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점 인정, 장학금 연계, 공모전 연계 등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전이를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군 복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대학의 군 복학생 지원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university life adaptation program for students returning to college after completing mandatory military service. Based on the Interactive Model of Program Planning proposed by Caffarella and Daffron, the program was designed around 11 key components: context, support, needs assessment, goals and objectives, instruction, learning transfer, evaluation, scheduling, budgets, marketing, details. To derive the content for each component, the study analyzed existing university support programs for returning students,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student veterans, and conducted surveys with learners and stakeholders, along with expert interviews.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study developed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Support Program for Students Discharged from Mandatory Military Service,” which includes multidimensional content such as academics, career develop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t suggests strategies to promote learner engagement and facilitate learning transfer, such as academic credit recognition, scholarship links, and project-based conte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supporting the holistic growth and successful adjustment of student veterans in higher education and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policies supporting such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상호작용모형에 기반한 군 복학생 대학생활적응지원 프로그램 개발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영아,신서윤,정응진. (2025).상호작용모형에 입각한 의무복무 제대군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보훈논총, 24 (2), 127-157

MLA

황영아,신서윤,정응진. "상호작용모형에 입각한 의무복무 제대군인 대학생활 적응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보훈논총, 24.2(2025): 127-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