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훈 콘텐츠 참여 경험이 국민 보훈 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 영문명
- The Impact of Patriotic Content Exposure on Public Attitudes toward Veterans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저자명
- 문예찬
- 간행물 정보
- 『한국보훈논총』제24권 제2호, 9~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훈 콘텐츠 경험이 국민의 보훈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효과가 보훈 대상자에 대한 보상 적절성 인식 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보훈의 의미에 관한 국민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한 결과, 보훈 콘텐츠 경험은 보훈에 대한 긍정 인식과 보훈 의식을 모두 유의미하게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보상 적절성 인식이 높을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보훈 보상이 충분하다고 인식하는 수용자에게는 콘텐츠 메시지가 추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콘텐츠 효과가 수용자의 정책 신뢰 및 제도 평가 수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훈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단순 메시지 전달을 넘어 정책의 정당성과 수용 기반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보훈 콘텐츠의 설득력이 수용자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작동함을 고려할 때, 타겟팅된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함께 제도적 신뢰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experiencing patriotic content on public awareness of veterans and explores how this effect is moderated by perceptions of compensation adequacy for veteran beneficiaries. Using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n public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patriotic servic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exposure to patriotic content significantly enhances both positive attitudes toward veterans and the perceived necessity of honoring them. However, this effect tends to gradually diminish as perceptions of compensation adequacy increase, suggesting that for those who already believe veterans are sufficiently compensated, additional content messaging has limited persuasive power.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effectiveness of such content is contingent upon individuals’ levels of policy trust and institutional evaluation. Therefore, patriotic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move beyond mere message delivery to also consider the perceived legitimacy and public acceptance of veteran-related policies. Given that the persuasive impact of patriotic content varies across audience characteristics, it is essential to develop targete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parallel with institutional reforms that reinforce public trus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보훈 콘텐츠 참여 경험이 국민 보훈 의식에 미치는 영향
- 국가보훈대상자 특성에 따른 보훈정책 욕구 분석 및 시사점 연구
- 국가보훈대상자 생활실태조사자료에 기반한 중·장기 복무 제대군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 특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