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Task-Oriented Interventions on Independe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발행기관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이지은 이유나
간행물 정보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99~11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과제지향 중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특히 작업치료사의 중재 과정을 중심으로 학문적 근거를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2013년 8월부터 2023년 2월까지 RISS, KISS, DBpia, Google Scholar, PubMed에서 10년간의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뇌졸중”, “독립성”, “일상생활”, “일상생활 중재”, “인지”, “Stroke”, “Independence”, “ADL”, “Cognitive”를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사용하여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과제지향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독립적인 일상생활, 상지 기능, 인지기능, 삶의 질 등의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12편의 모든 문헌에서 과제지향 일상생활 중재는 과업 수준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운동기능, 삶의 질,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심리 사회적인 부분에서도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과 일상생활 수행의 기능 향상을 확인하였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과제지향 중재가 임상에서 적절하게 활용될수 있는 학문적 근거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task-oriented interventions on the independence and daily living of people who have experienced stroke worldwide. Methods : The RISS, KISS, DBpia, Google Scholar, and PubMed databases were search for related studies from August 2013 to February 2023. The main search terms were “stroke”, “independence”, “daily life”, “daily life arbitration”, “recognition”, “ADL”, and “cognitive”. Twelve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 Tools evaluating independence in activity of daily living, upper limb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ask- oriented interventions. Interventions in activity of daily living by occupational therapists substantially increased the task level of the individuals in all 12 studies. In addition, arbitration in daily life considerably affected the motor function, quality of life,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sychosocial functioning of people with stroke. Conclusions : Occupational therapists systematically applied task-oriented interventions, with the results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Thus, clinical information and evidence can be appropriately used to guide evidence-oriented interventions in clinical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은,이유나. (2025).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7 (1), 99-112

MLA

이지은,이유나. "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7.1(2025): 9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