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이용수 0
- 영문명
-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Upper Limb Robotic Therapy and Upper Limb Robotic Therapy Combined with Mirror Therapy on Improving Functional Wrist Movement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지수정 정민예
- 간행물 정보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55~6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Brunnstrom Recovery Stage 3~5단계 내에서 회복단계가 다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로봇치료만 적용했을 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를 적용했을 때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1일 1회 1시간 실시하였으며, 2명의 대상자는 거울치료가 병행된 상지로봇치료 적용 후에 상지로봇치료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2명의 대상자는 상지로봇치료적용 후에 거울치료가 병행된 상지로봇치료를 수행하였다.
결과 : 모든 대상자들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를 적용했을 때 손목 각도가 더 크게 향상되었으며, 대상자 1은 굽힘 및 폄 각도 11도, 대상자 2는 굽힘 각도 12도, 폄 각도 8도, 대상자 3은 굽힘 각도13도, 폄 각도 9도, 대상자 4는 굽힘 각도 4도, 폄 각도 9도 증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임상현장에서 뇌졸중 환자의 상지재활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기 위해 향후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functional wrist movement improvement achieved with upper limb robotic therapy alone and upper limb robotic therapy combined with mirror therapy in stroke patients at Brunnstrom recovery stages 3 to 5.
Methods : Four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1-hour sessions once daily. Two patients first received combined therapy followed by robot-assisted therapy, while the other two received these therapy regimens in reverse order.
Results : All patient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wrist angle following combined upper-extremity robotic therapy and mirror therapy. Patient 1 improved by 11° (flexion/ extension), patient 2 improved by 12°/8°, patient 3 improved by 13°/9°, and patient 4 improved by 4°/9°.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and support the use of upper robotic therapy combined with mirror therapy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인간중심적 태도 및 휴머니튜드 지식이 휴머니튜드케어 실천에 미치는 영향
- 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과제 지향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도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적용: 파일럿(Pilot)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