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윤소현 박혜연 남상훈
간행물 정보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9~2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explored how lifestyl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o understand how healthy lifestyle maintains or enhances retirees’ life satisfaction. Methods :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2020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n = 6,488, ages 57–102) examined retirement status, life satisfaction, lifestyle, and demographics using Baron and Kenny’s path analysis, Sobel test assessing mediation. Results : Health behaviors mediated 14%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life satisfaction (total: β = −.06, direct: β = −.07, indirect: β = .01; p < .0001). Health status fu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ccounting for 70% of the effect (total: β = −.06, direct: β = −.02, p = .1148; indirect: β = −.04, p < .0001). Social participation fu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ccounting for 96% (total: β = −.06, direct: β = .01, p = .8428; indirect: β = −.06, p < .0001). Although all models fit perfectly, the path models had zero degrees of freedom, making fit indices meaningless. Conclusions : A healthy lifestyle significantly enhanced retirees' life satisfac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due to model saturation. Promoting health and social activities before retirement is crucial for aging well.

영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은퇴 상태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생활습관이 미치는 매개 효과를 탐구하여, 건강한 생활습관이 은퇴자들의 삶의 만족도를 유지하거나 향상시키는 기여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20년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데이터를 사용한 단면 분석연구로, 57세에서 102세 사이의 한국 성인 6,488명을 대상으로 은퇴 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은퇴 상태, 삶의 만족도, 생활습관,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수를 추출하여 매개 효과 분석을 조사하였다. 매개 효과 검증 방법은 Baron과 Kenny가 제안한 경로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건강 행동은 은퇴 상태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14% 부분 매개하였다(총 효과: β = −.06, 직접 효과: β = −.07, 간접 효과: β = .01, 모두 p < .0001). 건강 상태는 70% 완전 매개하였다(총 효과: β = −.06, 직접 효과: β = −.02, p = .1148; 간접 효과: β = −.04, 모두 p < .0001). 사회적 참여 및 활동은 96% 완전 매개하였다(총 효과: β = −.06, 직접 효과: β = .01, p = .8428; 간접 효과: β = −.06, 모두 p < .0001). 매개 모델이 적합도 지수, 규범 적합도 지수, 비교 적합도 지수가 1.00으로 데이터에 완벽하게 적합하였지만, 자유도(DF)가 0인 포화 경로 모델로 인해 모델 적합도 지수는 의미가 없었다. Sobel 검정을 통해 생활습관의 모든 하위 차원의 매개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p < .0001). 결론 : 본 연구는 건강 행동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는 것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여 성공적인 노화를 위해서 은퇴 전에 습관 형성 및 새로운 습관에 중점을 두는 것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소현,박혜연,남상훈. (2025).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7 (1), 9-23

MLA

윤소현,박혜연,남상훈.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7.1(2025): 9-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