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도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적용: 파일럿(Pilot)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Implementation of a Community-base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for Active Social Engagement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Pilot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신지원 이무원 양현 이채영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제7권 제1호, 81~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도적인 지역사회 기반 사회참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예비연구이다.
연구방법 :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8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중재 전후로 정량적 변수로 다면적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중재 후프로그램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만족도 설문 및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 중재 후 대상자들은 주도성과 지역사회 참여 수준이 증가하였고, 라이프스타일, 자기효능감, 사회적고립감 및 사회적 연결망의 긍정적 변화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사전·사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자의 주도적 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사회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대상자 주도형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기반 고령자정책 및 중재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roactive, community-base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The study employed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with eight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lder residing in Wonju, Gangwon Province, Korea. Multidimensional lifestyle and self-efficacy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a satisfaction survey an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intervention to provide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proactivity and community engagement, with positive changes in lifestyle, self-efficacy, social isolation, and social connectedness. However,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scor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participant-le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to sustain older adults’ community engagement. This study offers preliminary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community-based interventions and policy design for older popul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인간중심적 태도 및 휴머니튜드 지식이 휴머니튜드케어 실천에 미치는 영향
- 과제지향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독립성 및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과제 지향적 중재의 효과: 체계적 문헌 고찰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주도적인 사회참여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사회참여 프로그램의 적용: 파일럿(Pilot)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물리치료사 윤리역량 자가평가 도구(ECSAT-PT)의 기준점 설정 필요성에 대한 고찰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전⋅후 치위생 역량 평가
- Gilligan의 돌봄 윤리를 반영한 작업치료 윤리 통합 방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