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이용수  0

영문명
Creation Myth Aspects in the Proclamation of Daejonggyo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박성혜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77집, 31~6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에 수록된 창세신화의 특징을 밝히고, 이와 같은 서사의 내용과 형식이 갖는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는 단군교가 생성된 기원을 밝히고, 단군의 뒤를 이은 역대 왕조의 계보를 단군교의 관점에서 서술한 후, 단군교도들이 지켜야 할 오대종지를 설명하는 흐름으로 구성된다. 이때 단군교의 기원을 밝히는 부분에서 기존에 전승되던 단군신화가 창세신화로 형상화된다.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의 창세신화는 우주의 기원, 인류의 기원, 문화의 기원을 하나의 서사에서 모두 다루면서 대황조성신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도가의 우주론을 수용하여 자생적인 천지개벽을 형상화하고, 창조의 주체가 하늘, 신, 대황조성신으로 이어지며 세 차례에 걸친 인류 창조 과정을 보여준다. 그리고 하늘, 신, 대황조성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매개항으로서 대황조성신은 인류 창조에 성공한 문화 영웅으로서 결국 절대적인 부권신으로 자리를 잡는다. 대황조성신의 매개항적 특성은 대황조성신의 가르침을 기억하여 지키는 것과 잊어버리는 것, 현재 마주한 나라의 위기와 나라의 강성함이라는 대립항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장된다. 이는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가 이상과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논리로, 대황조성신을 정점으로 하는 창세신화가 필요했던 이유를 설명해준다. 그리고 이 서사를 근간으로 한 종교적 진실은 의례를 통해 대종교도들 사이에서 내면화될 수 있었다. 또한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는 단군신화의 전승사적 맥락에서 창세신화가 서술된 단군신화의 유형의 기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reation myth in the Dangun-gyo Odae Jongji Pomyeongseo 檀君敎五大宗旨佈明書(Proclamation of the Five Great Doctrines of Dangun-gyo). The proclamation comprises three parts. First, it presents the origin of Dangun-gyo through a creation myth. Second, it traces the historical lineage of Dangun’s descendants. Finally, it describes the Five Great Doctrines followers of Dangun-gyo are expected to uphold. This creation myth addresses the origins of the universe, humanity, and culture. Within this narrative, Dangun called Daehwangjoseongshin—the Great Ancestral Sacred Deity who completes the humanity’s creation and establishes human civilization—is portrayed as a mediator between heaven and earth, as well as between the divine and human realms. This extends to the reconciliation between remembering and upholding the teachings of Daehwangjoseongshin and forgetting them, as well as between the current national crisis and the ideal of a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In this context, the proclamation provides rationale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ideals and reality, explaining the necessity of a creation myth centered on Daehwangjoseongshin. Furthermore, followers could internalize this religious truth through ritual practices regularly performed in Daejonggyo. The proclamation is also significant for marking the starting point in the transmission of a version of the Dangun myth presented as a creation myth.

목차

1. 서론
2.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의 구성
3.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의 신화소와 창세신화적 특징
4. 『단군교오대종지포명서』에서 창세신화가 갖는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혜. (2025).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구비문학연구, (), 31-66

MLA

박성혜. "대종교 포명서의 창세신화적 성격." 구비문학연구, (2025): 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