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Activation Strategy through Analysis on Children’s Acception of “Grandma Storyteller“ Storytelling and Convergence Play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김영주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77집,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야기 할머니’ 듣기의 현장과 극 감상의 현장에서 발현되는 차별적 미감의 실체를 확인하고, 상황별 장점을 확장시켜 ‘이야기 할머니’ 사업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말로 들려주던 이야기가 음악 및 연극적 요소와 결합해 공연물로 변모함에 따라 텍스트의 미적 지향은 달라질 것인 바, 이야기 구연과 극 감상의 현장에서차별적으로 형성되는 미감을 포착하고 그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각 장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옛이야기를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사업의 확장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구연현장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유아들은 자기 서사화를 위해 이야기를 머릿속으로 재구성하는 데 집중한다. 이야기 구연 현장에서는 유아들이 듣는 행위를 통해 서사를 상상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장면으로 이미지화된다. 이는 사고활동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지만 특정 장면을 상상해 내지 못하는 개인이 생겨남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신의 배경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본 활동에서 구연자의 이야기를 들은 유아집단이 자신이 들은 내용을 배경지식과 비교 대조하는 사고가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공연감상에서의 특징은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유아 개개인의 상상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전달되는 장면을 이미지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몰입으로 인한 인물에의 공감이 나타나게 되는데, 유아의 경우에는 행동 모방으로 발현된다. 이상의 구연현장과 극감상 현장의 특징을 살려 장점을 확산시킬 방안으로 다음을 제시하였다. 첫째, 구연 현장을 서사의 주제 및 교훈을 전달하는 것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다양한 발화 기회 제공, 대화 예절 습득의 기회로 확장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극 감상후 놀이 활동을 연계하여 실물접촉, 오감만족으로의 확장 체험을 기획할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fferentiated aesthetics in listening to stories and watching story plays and sought ways to revitalize the enjoyment of old stories by expanding the advantages of each situati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Grandma Storyteller” sites are as follows. First, listeners of oral performances focus on reconstructing the story in their minds for self-narrative purposes. Because children imagine stories through the act of listening, they imagine various scenes. Although this can be an opportunity to stimulate thinking activity, some individuals are unable to imagine certain scenes. Second, listeners of GrandmaStorytellersites compare and contrast what they heard from the storyteller’s thoughts with their own background knowledg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evalu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children watch a play, they do not imagine it but accept the delivered scenes as images. Second, when children watch a play and become emotionally immersed, they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and express their empathy through imitating behavior. Through the above analysis, two suggestions to improve Grandma Storyteller scenes were presented. First, storytelling scenes should provide children with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learn speech and conversation etiquette beyond conveying the story’s themes and morals. Second, after watching a play, the experience must be expanded by connecting with play activities that mirror reality and satisfy the five senses.

목차

1. 서언
2. 이야기 할머니 구연에서 유아들의 자기 서사화 방법
3. 이야기 할머니 융복합공연을 통한 유아들의 예술체험 과정
4. 구연과 용복합극의 확장 방향
5.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주. (2025).‘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구비문학연구, (), 1-29

MLA

김영주. "‘이야기 할머니’ 구연과 융복합 공연의 유아 수용양상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구비문학연구, (2025):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