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효과 및 질적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Reading Interventions: A Systematic Analysis of Single-Case Studies for Students with or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서현 김수정 명교은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1호, 51~8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내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연구참여자로 하는 단일대상연구 읽기 중재의 연구 동향과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 What Works Clearninghouse (WWC) 5.0 지표에 근거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총 16편의 연구를 분석 대성 문헌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 특성,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 설계, 일반화‧유지 측정 여부에 따라 일반적인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WWC 5.0 지표에 근거하여 연구의 질을 분석하였으며, Tau-U 수치를 산출하여 중재의 효과 크기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분석한 논문의 대부분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44%에 해당하는 연구가 독립변인으로 두 가지 이상의 교수학습 전략을 결합하여 제시하였고 그 중 4편이 파닉스 교수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단어인지, 단어 읽기, 단어 재인, 어휘 종속변인을 중재하고자 한 연구가 총 10편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연구 설계 측면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가 총 10편으로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연구는 설계 평가 항목에서 기초선 데이터의 부족, 결과 측정 항목에서 관찰자간 신뢰도를 측정하지 않아 WWC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 대상 논문에서 다룬 읽기 중재의 전체 효과 크기(Tau-U)는 0.93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trends and intervention effects of single-case read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or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rom 2011 to 2024. The study also evaluated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 WWC 5.0 quality indicators. A total of 16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General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designs. The studies were assessed using the WWC 5.0 indicators, and the overall effect size and effect sizes of each included studies were calculated using Tau-U.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studies invol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44% of the studies implemented two or more instructional strategies as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m, four studies used phonics-based instructional programs. The most frequently targeted dependent variables were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vocabulary, with a total of 10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design,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was the most commonly used. However, most studies did not meet WWC standards due to insufficient baseline data and a lack of interobserver reliability measuremen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s was 0.93 indicating a high level of effectivene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대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탐색 - H대학 지적장애 대학생 및 학부모 면담을 중심으로 -
-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교수 전략 탐색
-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 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효과 및 질적 분석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에듀테크 기반의 동작 반응형 음악 연주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국내 중재연구 동향 분석
-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가부장제 사회에서 내면화한 여성 역할에 대한 중년 여성의 극복 경험: 자문화기술지
- 군 전역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또래 여성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중년 재혼 여성의 ‘다시 살아내는 결혼 이야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