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국내 중재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eview of Trends of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on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Disability Awareness Improvement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윤현아 전상신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1호, 83~1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제정된 2007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 중재연구 38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7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실행되었으며 중재대상은 주로 비장애 초등 고학년이었다. 둘째, 연구자가 중재자이며 중재자 교육은 주로 실시하지 않았고 중재장소는 학교, 중재상황은 정규수업시간, 중재기간은 5~8주, 중재회기는 11회~20회, 중재시간은 40분 이하인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교과와 연계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으며, 독립변인의 명칭으로는 주로 장애이해교육이 사용되었고, 교육 유형은 이론수업과 체험활동의 혼합형이 가장 많았다. 넷째, 종속변인은 비장애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급별 다양한 장애이해 교육프로그램과 장애인식개선프로그램 실시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research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ttitude improvement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these programs. A total of 38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4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se interventions have been consistently implemented, primarily targeting upper-grade elementary and non-disabled students. The researcher typically served as the primary interventionist, with minimal formal training.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during regular school hours, lasting 5-8 weeks with 11-20 sessions, each under 40 minutes. Most studies were not integrated into the regular curriculum. The term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was most commonly used with a combination of theoretical lesson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The main measure was non-disabled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acceptan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developing disability awareness and inclusion programs tailored to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대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탐색 - H대학 지적장애 대학생 및 학부모 면담을 중심으로 -
-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교수 전략 탐색
-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 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효과 및 질적 분석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에듀테크 기반의 동작 반응형 음악 연주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국내 중재연구 동향 분석
-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