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Restorative Life Education Human Rights Improvement Program on School Violence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Righ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 Inclusive Clas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1호, 143~17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통합학급에서 회복적생활교육을 기반으로 한 인권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당 프로그램이 장애 및 비장애 학생들의 학교폭력인식과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U시 소재 공립 A초등학교 초등 2학년 통합학급에서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여,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의 인식 변화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대응표본 t-검정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에 참여한 전체 학생은 장애학생 1명을 포함한 총 23명이며, 연구를 위해 총 10회기(20차시)의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을 보편적 학습설계 요소를 반영하여 개발·적용하였다. 학교폭력인식 검사와 장애인권감수성 검사를 활용하여 실험집단에 사전-사후 점수 변화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인권향상프로그램 실행 후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들 모두 학교폭력인식 검사의 하위요소인 학교폭력 허용적 분위기, 학교폭력 태도 및 행동, 학교폭력 대처능력 영역과 장애인권감수성 검사의 하위요소인 상황지각능력, 결과지각능력, 책임지각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 모두의 학교폭력인식과 장애인권감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교육의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uman rights improvement program based on restorative life education in a inclusive class of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chool violence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righ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the one group pre-post experimental design in a inclusive class of the second grade of public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 city, we examined whether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a dependent sample t-test. A total of 23 students, including a student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total of 10 sessions (20 lesso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by reflecting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hool violence permissive atmosphere, school violence attitude and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the school violence awareness test, and situation perception ability, outcome perception ability, and responsibility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the school violence response ability test. Based on the main results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sensitivity of righ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대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탐색 - H대학 지적장애 대학생 및 학부모 면담을 중심으로 -
-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교수 전략 탐색
-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 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효과 및 질적 분석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에듀테크 기반의 동작 반응형 음악 연주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국내 중재연구 동향 분석
-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