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 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Digital Competency : Focusing on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20권 제1호, 173~20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사에게 필요한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 체계를 탐색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전국의 현직 특수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디지털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사 모두에게 요구되는 최우선순위 디지털 역량은 ‘학습자 디지털 윤리 지원’, ‘디지털 기술 및 자원 사용’, ‘교육과정 분석’, ‘디지털 기반 수업 설계’, ‘학습자 디지털 참여 지원’, ‘학습자 디지털 활용 지원’, ‘디지털 기반 학습자 맞춤형 교수・학습 실행’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교급, 특수학교(급), 교직 경력, 디지털 교육 연구회 참여 유무에 따라 교육 요구와 우선순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사는 ‘학습자 디지털 참여 지원’, 특수학교 교사는 ‘학습자 디지털 활용 지원’ 역량에 대한 요구가 두드러졌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적인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향후 특수교사 대상 연수 과정 개발 및 지원 체계 구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needs for digital competency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competencies. Based on a previously developed digital competency framework,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0 in-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identified the highest priority competencies as supporting students’ digital ethics, using digital tools and resources, analyzing the curriculum, designing digital-based lessons, facilitating student participation in digital environments, supporting students’ use of digital tools, and implementing individualized digital-based instru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s and priorities were found based on variables such as school level, type of placement (special class vs. special school),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example, special class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to support student participation in digital environments, whereas special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er need for supporting practical use of digital t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comprehensive strategies to streng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offering a foundation for future training and support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대학생 맞춤형 교육지원 방안 탐색 - H대학 지적장애 대학생 및 학부모 면담을 중심으로 -
-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과 교수 전략 탐색
- 특수교사 디지털 역량의 교육 요구 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을 중심으로
- 읽기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단일대상연구 효과 및 질적 분석
- 피지컬 컴퓨팅을 활용한 에듀테크 기반의 동작 반응형 음악 연주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초⋅중⋅고등학교에서 실시된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인식개선교육의 국내 중재연구 동향 분석
- 회복적생활교육 인권향상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장애 및 비장애 초등학생의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