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alyzing the Impa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Local Settlement Intentions among Students at Regional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하진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1권, 145~16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고등교육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여 정주의사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지역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경험이 지역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교육수요자 만족도, K-NSSE, 지역참여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정주 수준별 차이와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생의 교육만족도와 지역참여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정주 수준(상․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역정주 수준이 높은 집단은 전공․교양교육, 교육환경, 지역참여공감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지역정주의지, 지역몰입, 지역참여의지, 지역사회이해 등 지역 관련 요인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 지역에 대한 애착과 참여 의식이 학생의 교육 경험과 정주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재학생 교육수요자 만족도, K-NSSE, 지역참여실태 주요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부분의 요인 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참여실태는 학업도전, 교수․학습 경험, 대학환경, 학생성과 등과 밀접한 연계를 보였다. 이는 지역참여 경험이 단순한 외부 활동이 아니라, 학업 역량, 교육 만족도, 정서적 몰입 등 대학 교육성과 전반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이 지역정주 수준 향상을 위한 전략적 개입, 즉 지역 연계 교육과정 운영, 지역사회 협력 강화,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통해 재학생의 교육 만족도와 지역사회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이 지역사회와의 지속가능한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정주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at regional universities on their intention to settle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contributions of higher education to local development, thereby providing insights into ways of enhancing students’ willingness to remain in the region.
[Content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educational experiences affect students’ local settlement intentions, focusing on students enrolled at regional universities. Data were drawn from the Student Satisfaction Survey,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and the Regional Engagement Survey to examine differences by settlement intention level and correlations among key variables.
[Conclusions] As a result,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local settlement intention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satisfaction in areas such as major and gener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and regional engagement. Regional identity factors—such as willingness to settle, regional commitment, and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showed particularly strong association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Correlation analysis further revealed that regional engagement was positively linked to academic challenge, faculty interaction, campus environment, and student outcomes (R = .454–.553), suggesting that it is an integral part of student learning and satisfaction, not merely an external a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의 재개념화 고찰: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의 맥락에서
-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기독교학교(개신교)를 중심으로
- 장자 본성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2015 인성교육진흥법의 분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언어와 영성 발달: 하나님 포괄적 언어에 대한 신학적․교육학적 성찰
-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