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자 본성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2015 인성교육진흥법의 분석적 검토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haracter Education Implications of Zhuangzi's Theory of Human Nature: A Critical Analysis of the 2015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충현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1권, 123~1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장자의 본성론에 기반하여 현행 인성교육의 한계를 검토하고, 대안적 인성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인성교육은 인성 개념의 모호성, 획일적 가치 강요, 가정과 사회에서의 실천적 연계 부족이라는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장자의 자연적 성 개념과 수양법을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장자의 본성론에 기반하여 현행 인성교육의 한계를 검토하고, 대안적 인성교육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인성교육은 인성 개념의 모호성, 획일적 가치 강요, 가정과 사회에서의 실천적 연계 부족이라는 문제를 드러낸다. 이에 장자의 자연적 성 개념과 수양법을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론] 자연적 본성을 중시하는 장자 본성론은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인성교육에 있어서 인성은 어떻게 정의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발현하고 훼손시키지 않느냐의 문제이다. 둘째, 인성교육에서 제시하는 가치․덕목은 자연적 본성을 옭아맬 수 있으므로 실천 중심의 학습을 통해 자각되어야 한다. 셋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에는 죽음교육, 생명존중교육, 기술교육 같은 활동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Zhuangzi's theory of human nature as a complementary approach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urrent character education, and to draw out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Contents]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enacted in 2015, was the first law in the world to mandate character education. However, its legislation and implementation were accompanied by several controversie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issues arose regarding the ambiguous concept of character, the imposition of uniform values, teacher trai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s. Among these, ongoing problems include the unclear definition of character, the enforcement of standardized values and virtues, and the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in homes and society.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reexamines Zhuangzi's theory of human nature and explores ways to connect it with character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drawn: character education should prioritize the preservation and realization of natural human disposition over rigid definitions; value-based instruction must be grounded in experiential learning to foster genuine awareness; and practical, life-centered programs such as death education, life-respect education, and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to support holistic character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현행 인성교육의 문제점과 장자의 본성론
Ⅲ. 인성교육과의 연계 가능성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의 재개념화 고찰: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의 맥락에서
-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기독교학교(개신교)를 중심으로
- 장자 본성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2015 인성교육진흥법의 분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언어와 영성 발달: 하나님 포괄적 언어에 대한 신학적․교육학적 성찰
-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