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직장 부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심리적 소진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
- 영문명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Reducing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Childcare Teachers with Workplace Mal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 저자명
- 양지민 이계숙 정재원
- 간행물 정보
- 『교정상담학연구』제10권 제1호, 103~1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직장 부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명이며 과도한 근무시간, 낮은업무 만족도, 교사 역량 부족, 고용불안 등의 열악한 근무 환경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25년 2월 5일부터 4월 16일까지 총 10회기 동안 주 1회 90분을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직무스트레스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진행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직장 부적응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직장 부적응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질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직장 부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집단원은 자기의 내면을 재발견하고 억압된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감정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아울러집단원 간 의사소통으로 정서적 갈등 및 심리적 증상이 감소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직장 부적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심리적인 건강 상태 개선에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ing workplace mal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five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City A, who struggled with poor working conditions including excessive working hours, low job satisfaction, insufficient professional competence, and job insecurit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in total of 10 sessions, from February 5 to April 16, 2025. The research methods used were the Job Stress Scale, the Psychological Burnout Scale, and the Person-in-the-Rain (PITR) Drawing Test.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job stress among childcare teachers experiencing workplace maladjustment. Secondly,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in these teachers.
Thirdly, as the results of qualitative observa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both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childcare teachers experiencing workplace maladjustment. Through the process of rediscovering their inner selves and freely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participants improved their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In addition, emotional conflicts and psychological symptoms were allevia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To comprehensively sum up the results, group art therapy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ducing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well as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ldcare teachers experiencing workplace mal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