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폭력 상담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경상권역 해바라기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Sexual Violence Counselors’ Supervision Experiences: For the counselors at gyeongsang sunflower center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박순연 박재연 조정미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3권 제2호, 191~21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성폭력 상담사들의 수퍼비전 경험과 상담 현장에서의 삶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권역의 해바라기센터(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센터)에서 근무하며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9명의 성폭력 상담사를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로 수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의 분석 결과, ‘성폭력 상담 현장의 어려움’, ‘수퍼비전을 통한 자기 성장’, ‘아쉬움을 남긴 수퍼비전 경험’, ‘수퍼비전에 대한 바람과 요구’라는 네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폭력 상담사의 수퍼비전 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사회적 경험을 탐색하는 통합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성폭력 상담사들이 실제로 겪은 수퍼비전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성폭력 상담 수퍼비전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upervision experiences and lives of sexual violence counselors in counseling settings. Method: Nine sexual violence counselors working at the Sunflower Center (a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for sexual violence victims) in the Gyeongsang region with supervision experience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or this purpos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applied to conduct interviews and collect qualitative data.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content, four main themes emerged: challenges in the field of sexual violence counseling, personal growth through supervision, supervision experiences with regrets, and wishes and demands for supervisio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an integrative dataset exploring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related to the supervision of sexual violence counselors. Additionally, the findings of this in-depth exploration of actual supervision experiences by sexual violence counselor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on sexual violence counseling supervis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와 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상대방효과
- 부부・가족치료 사례개념화 연구의 과제와 전망: 주제 및 상담분야별 연구동향 비교 분석
- 한국 기혼남녀의 역기능적 성신념: 성별 요인구조 탐색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 중년기 장기결혼 유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성폭력 상담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경상권역 해바라기센터 상담사를 중심으로
- 슈퍼바이지의 원가족 건강성과 불안정 애착전략이 슈퍼비전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담자 경험 수련의 조절된 매개효과
- 낭만적 관계에서의 적대적 귀인 편향: 한국판 척도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