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려동물 상실 후 은둔생활을 하는 30대 여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심리적 구조와 회피적 성향을 중심으로
이용수 141
- 영문명
- Sandplay Therapy for a Woman in Her 30s in Seclusion After Pet Loss: A Jungian Perspective on Psychological Structure and Avoidant Tendency
- 발행기관
-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최지인 한유진
- 간행물 정보
- 『모래놀이상담연구』제21권 제1호, 143~17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이 개인의 심리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융의 분석심리학적 틀 안에서 탐색하고, 애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심리적 구조와 회피적 성향에 대해 모래놀이치료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대상은 30대 초반의 여성 내담자로 15년간 함께한 반려동물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극심한 죄책감과 우울감을 경험하고, 사회적 고립과 정서적 단절을 보였다. 본 연구는 25회기의 상담 과정을 초기(1-9회기), 중기(10-17회기), 후기(18~25회기)로 구분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상담 초기에는 강한 회피적 성향과 감정 억압이 두드러졌으며, 가족과의 정서적 소통을 차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모래상자에서도 피규어를 숨기거나 높은 장애물을 올리는 등의 방법으로 감정의 직면을 차단하려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중기 상담에서는 점진적으로 반려동물의 죽음을 인정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족과의 관계와 감정을 재탐색하는 과정이 이루어졌다. 후기 상담에서는 감정통합 과정이 활성화되었으며, 내담자는 상실 경험을 자기 이해와 성장의 기회로 재구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반응은 개인의 심리적 구조와 깊이 연결되어 있으며, 애착 유형, 모성․부성 원형, 그림자, 콤플렉스 등의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모래놀이치료가 애도 과정을 촉진하며, 무의식 감정을 탐색하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로 인해 심리적 고통을 겪는 내담자들에게 효과적인 상담 방향 및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psychological impact of pet loss from a Jungian analytical perspective, with a focus on avoidant tendencies and the therapeutic role of sandplay therapy. The client, a woman in her 30s, experienced intense guilt and emotional withdrawal following the sudden death of her dog of 15 years. Her therapeutic journey over 25 sessions was analyzed across three phases: early (emotional repression and dissociation), middle (emergence of mourning and insight into familial and archetypal dynamics), and late (emotional integration and identity reconstruc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pet loss can reactivate unresolved complexes and archetypal wounds, functioning as a psychological crisis that intensifies emotional avoidance and disrupts internal equilibrium. Sandplay therapy provided a safe, nonverbal symbolic space that enabled the client to project and process mourning, facilita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inner integr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clinical value of symbolic expression in mourning work and suggests that sandplay therapy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lients who struggle with verbal emotional processing and self-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내용
Ⅳ. 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내담자와 상호관계에서의 상담자 성장에 관한 연구: Giorgi 분석틀을 중심으로
- 학교 밖 청소년의 대인 간 문제해결력 변화를 위한 ‘양 떼를 지켜라’ 보드게임 활용
- 개성화 상담의 길잡이로서 타로 메이저 아르카나 활용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