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포츠활동 비참여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스마트폰의존성,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

이용수  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이제행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1호, 121~13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스포츠활동 참여하지 않는 초등학생의 부정정서와 스마트폰의존성 및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시의 초등학생 중 최소 6개월 이상 스포츠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5, 6학생 총 38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를 측정한 후, 추출된 변수 간의 상관분석를 하고,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3단계의 위계적인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정서(불안, 흥분, 걱정), 스마트폰의존성(습관성, 강박성), 사회적효능감(주도력, 협조력) 변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다. 둘째, 부정정서와 스마트폰의존성이 사회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정서와 스마트폰의존성은 두 변수는 통계적인 유의성 유무와 상관없이 사회적효능감에 음(-)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스마트폰의존성이 부정정서와 사회적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 한 결과, 불안과 사회적효능감(주도력, 협조력)의 관계에서 스마트폰의존성(습관성, 강박성)은 매개효과가 없다. 흥분과 사회적효능감(주도력, 협조력)의 관계에서 스마트폰의존성(습관성, 강박성)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다. 걱정과 사회적효능감(주도력, 협조력)의 관계에서 스마트폰의존성(습관성, 강박성)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efficac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o not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To achieve this, a total of 389 students from grades 5 and 6 in City I who had not participated in sports activities for at least 6 months were surveyed.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measuremen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xtracted variables, and a three-step hierarchica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conclusions i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motions(anxiety, excitement, worry), smartphone dependence(habituation, obsession), and social efficacy(leadership, cooperation). Secondly, regarding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and smartphone dependence on social efficacy, both negative emotions and smartphone dependence negatively affect social efficacy regardles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ly, examining whether smartphone depend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social efficacy, it was found that smartphone dependence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ocial efficacy. However, it do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citement and social efficacy,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ry and social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제행. (2025).스포츠활동 비참여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스마트폰의존성,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 (1), 121-136

MLA

이제행. "스포츠활동 비참여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스마트폰의존성,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1(2025): 12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