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를 위한 심리운동 SPE-Modell 적용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Eine Studie zur Anwendung des Psychomotorik SPE-Modells für Stärkung des sozialen Unterstützungsnetzwerks
- 발행기관
- 한독심리운동학회
- 저자명
- 박재우(Jae-Woo Park)
- 간행물 정보
- 『심리운동연구』제11권 제1호, 193~2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요구에 따라서 개인의 사회적 지지기반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심리운동 SPE-Modell을 고찰하고 이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기반의 의미와 강화 필요성은 무엇인가? 둘째, 심리운동 SPE-Modell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리고 셋째, 사회적 지지기반을 접목한 심리운동 SPE-Modell은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기반은 사회적 자본의 중요 요소로서 사람들 간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사회적 네트워크이며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강화는 사회의 안정성과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개인적 차원의 의미 있는 순환을 야기하여 급변하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개인 삶의 질 향상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 둘째,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에 적용할 수 있는 심리운동 SPE-Modell의 3가지 이론적 특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1) 심리운동 SPE-Modell은 자기결정 및 자율성을 기본 원칙으로 움직임 교육 및 치료를 추구한다. 2) 사회적 지원과 돌봄의 패러다임 변화의 수용을 골간적 원칙으로 지향한다. 3) 개인적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개체발생적 관점에서 계통발생적 관점으로의 확장을 중추적 목적으로 한다. 셋째, 심리운동 SPE-Modell의 실제 적용을 J 지역과 B 지역 사례를 통해 소개하였다. 이는 사회적 지지기반을 접목한 심리운동 SPE-Modell이 제한된 활동공간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로 활동 공간을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개인적 측면의 지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연계 강화를 통한 사회적 측면의 지역사회를 기반한 사회적 지지기반을 강화하는 교육 및 치료 영역의 확대 및 발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기반을 접목한 심리운동 SPE-Modell을 근거로 심리운동 및 Motologie의 역할을 도출하여 다양한 적용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dieser Studie untersuchten wir das Psychomotorik SPE-Modell, das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eines Einzelnen entsprechend den Anforderungen einer sich rasch verändernden modernen Gesellschaft wirksam stärken kann, und untersuchten Fälle seiner Anwendung. Die Forschungsfragen lauten wie folgt. Erstens: Was ist die Bedeutung des sozialen Unterstützungsnetzwerks und die Notwendigkeit, diese zu stärken? Zweitens: Was sind die Merkmale des Psychomotorik SPE-Modells? Drittens: Wie können wir das Psychomotorik SPE-Modell anwenden, das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einbezieht? Die Forschungsergebnisse sind wie folgt. Erstens ist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ein wichtiger Bestandteil des Sozialkapitals, eines sozialen Netzwerks, das auf Vertrauen und Zusammenarbeit zwischen Menschen basiert. Die Stärkung solcher sozialen Netzwerke trägt zur Stabilität und Entwicklung der Gesellschaft bei, während sie gleichzeitig einen sinnvollen Austausch auf individueller Ebene ermöglicht und eine bedeutende Rolle bei der Verbesserung der Lebensqualität der Menschen spielt, die in einer sich rasch wandelnden modernen Gesellschaft leben. Zweitens wurden die drei theoretischen Merkmale des Psychomotorik SPE-Modells, das zur Stärkung der sozialen Unterstützungsnetzwerke angewendet werden kann, wie folgt dargelegt. 1) Das Psychomotorik SPE-Modell verfolgt die Bewegungsorientierte pädagogik und Therapiebereiche, die auf den Grundprinzipien der Selbstbestimmung und Autonomie basiert. 2) Wir wollen den Paradigmenwechsel in der sozialen Unterstützung und Betreuung als Kernprinzip begreifen. 3) Ihr zentrales Ziel ist die Erweiterung von der persönlichen auf die soziale Ebene und von der ontogenetischen auf die phylogenetische Perspektive. Drittens wurde die praktische Anwendung des Psychomotorik SPE-Modells anhand von Fällen in Region J und Region B vorgestellt. Dies zeigt, dass das Psychomotorik SPE-Modell, das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einbezieht, seinen Aktionsraum über den begrenzten Aktionsraum hinaus auf die lokale Gemeinschaft ausweiten kann. Darüber hinaus wird die Möglichkeit einer Ausweitung und Entwicklung der Pädagogik und Therapiebereiche vorgeschlagen, die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auf der Grundlage der Gemeinschaft durch die Stärkung der örtlichen Community Verbindungen sowie der persönlichen Unterstützung stärken. Abschließend wurden auf Grundlage des Psychomotorik SPE-Modells, das das soziale Unterstützungsnetzwerk einbezieht, die Rollen von Psychomotorik und Motologie abgeleitet und verschiedene Anwendungen und Folgestudien vorgeschlagen.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움직임은 어떻게 희망을 만드는가 - 만성통증 환자의 사례연구
- 발달협응성장애 아동의 운동협응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심리운동중재 사례연구
- 교육실습 일지 분석을 통한 예비 심리운동사의 수업 경험 연구 - 심리운동 이해, 수업 상황 인식 및 피드백을 중심으로
-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 여성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사회적(실용적) 의사소통장애의 개념과 등장 배경
- 성인 자폐인을 위한 심리운동 기반 말매개치료 사례연구
- 심리운동 활동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를 위한 심리운동 SPE-Modell 적용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를 위한 심리운동 SPE-Modell 적용 고찰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심리운동 활동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