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 무용경연의 무용 유형 및 심사 내용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dance types and judging conten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강순 정우정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1호, 95~10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참가하는 무용경연의 무용 유형 및 심사 내용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라는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한 무용 유형과 교육적 가치를 고려한 심사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 문헌 연구와 함께 초등교사를 양성하고 무용경연을 개최하는 A, B, C 교육대학교의 무용경연 요강, 무용경연 신청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A 교육대학교의 초등교사 무용경연에 위촉된 심사위원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 전화 인터뷰 등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무용경연의 무용 유형으로 다양함을 수용한다. 둘째, 초등교사 무용경연의 심사 내용으로 창의성과 표현력, 심미성을 포함한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무용경연에서 체계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교사 무용경연에서 교육적 성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dance and the judging content of dance competitions i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types of dance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judging content that takes into account educational value. This study is a case study, and it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terials such as the dance competition guidelines and application forms of A, B, and C universities of education that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hold dance competitions, along wit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three judges appointed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telephone interviews,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da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s are diverse. Second, the judging cont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s includes creativity, expressiveness, and aesthetic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ystematic operation methods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s is necessary. Second, research on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 dance competitions and educational outcome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육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생애를 관통하는 만남을 이어가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학습자의 목소리
- 한 골프 입문자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1인칭 체험연구
- 초등교사 무용경연의 무용 유형 및 심사 내용 탐색
- 초등학교 체육교과는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
- 늘봄학교 체육 및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연구동향 분석
- 초등 늘봄학교 음악 줄넘기 참여자의 목표 내용이 수업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활동 비참여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스마트폰의존성,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
- 중국 초등학교 특급 체육 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를 위한 심리운동 SPE-Modell 적용 고찰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심리운동 활동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