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교과는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

이용수  0

영문명
Who Should Teach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한상모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1호, 57~7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체육 수업의 내실화를 위한 수업의 주체에 대해 탐색하였다. 체육전담교사는 효율성과 전문성을 근거로 체육수업 내실화의 방안으로 정당화되었으나, 조직 내 소외·정체성 혼란·학생과의 라포 부족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반면, 담임교사는 전문성 부족 등의 비판을 받지만, 학생과의 관계 형성, 교과 통합을 통한 풍부한 체육수업 제공 등의 강점을 지닌다. 한편, 변화된 학교 문화 속에서 체육전담교사를 중심으로 체육수업을 내실화해야 한다는 기존 논리는 한계를 보인다. 개인화된 문화 속에서 체육전담교사의 역할이 약화되고 있으며, 청년 세대 교사들의 보상 중심적 성향으로 인해 초등체육은 지속 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다. 또한, 스포츠 강사 및 기간제교사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초등교사의 체육 전문성 개발 동기가 약화되는 문제도 나타난다. 이에 따라 초등체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체육전담교사와 담임교사가 함께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 체육전담교사는 담임교사가 지도하기 어려운 단원을 중심으로 맡고, 담임교사는 나머지 단원을 책임지는 방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체육전담교사 인원의 적정화, 유연한 수업 배정, 체육 교과 협의회의 실질화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PE) instruction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PE specialist teachers have been justified as a means to improve PE instruction based on efficiency and expertise. However, persistent issues such as isol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identity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building rapport with students have been raised. On the other hand, homeroom teachers (HTs) are often criticized for their lack of expertise in PE, yet they possess strengths such as fostering clos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integrating PE with other subjects to provide a more enriched learning experience. Meanwhile, the traditional argument that PE instruction should be primarily led by PE specialists faces challenges in the changing school culture. The role of PE specialists is weakening in an increasingly individualized school environment, and younger generations of teachers tend to prioritize immediate and tangible rewards, raising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elementary PE instruction. Furthermore, the growing reliance on sports instructors and temporary teachers with secondary PE certifications has reduced the motivation of elementary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PE expertise. Given these changes, structural reforms are necessary to ensu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lementary PE instruction. A cooperative teaching model, where PE specialists focus on units that are difficult for HTs to teach while HTs take responsibility for the remaining units, is required. To implement this model effectively, optimizing the number of PE specialists, adopting a more flexible approach to class assignments, and strengthening PE curriculum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re essential.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체육수업 주체에 대한 오랜 논의들
Ⅲ. 달라진 교사와 학교
Ⅳ. 변화에 맞춰 해법 찾기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모. (2025).초등학교 체육교과는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 (1), 57-74

MLA

한상모. "초등학교 체육교과는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1(2025): 57-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