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늘봄학교 체육 및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f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of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Programs in Neulbom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홍애령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1호, 107~1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늘봄학교가 전면 도입된 2024년 2학기 서울, 경기 지역 늘봄학교 체육, 무용교육(표현)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교육부, 각 지역교육청의 정책자료, 서울과 경기 지역 초등학교의 공시자료를 조사하여 늘봄학교 체육 및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늘봄학교 연구의 출처와 발표 시기, 키워드 출현빈도, 중심성 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늘봄학교 체육 및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비중은 지역 편차가 있었으나 전체의 18.0%~21.7%를 차지하였다. 둘째, 늘봄학교 연구는 학술지논문과 2024년에 집중되었으며, 키워드의 출현빈도는 프로그램(12), 체육(7), 정책 (6), 갈등, 학부모(4), 강사, 교육, 무용, 시스템, 음악, 학교, 협력(3) 순으로 나타났다.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정책(21.0)이었고 프로그램(16.0), 체육(10.0), 예술(7.0), 스마트(6.0), 미술치료(5.0), 지역사회, 학교 (4.0), 교육협력, 시스템, 강사, 무용(3.0), 초등학생, 갈등, 개발, 교사, 교육청, 놀이, 생태교육(2.0)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다양화, 강사 역량 강화, 교육공간 확보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expressive activity) programs in the Gyeonggi and Seoul during the time of the full introduction of the Neulbom school program,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 management. To this end, we explored the current issues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program and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For the study,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expressive activity) programs of the Early Childhood School through policy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local education departments, and publicly available data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nalyzed keywords from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ropor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programs in the Neulbom schools varied by region, but accounted for 18.0% to 21.7% of the total.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keywords in the literature were: program (12), physical education (7), policy (6), conflict, parents (4), instructor, education, dance, system, music, school, cooperation (3). In addition,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onnection centrality was policy (21.0), followed by program (16.0), physical education (10.0), art (7.0), smart (6.0), art therapy and program (5.0), community and school (4.0), educational cooperation, system, instructor, dance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flict, development, teacher, school board, play, and ecological education (2.0).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programs,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of instructors, and secure educational spa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늘봄학교 정책 개요 및 추진 과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체육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생애를 관통하는 만남을 이어가는 요인 탐색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학습자의 목소리
- 한 골프 입문자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1인칭 체험연구
- 초등교사 무용경연의 무용 유형 및 심사 내용 탐색
- 초등학교 체육교과는 누가 가르쳐야 하는가?
- 늘봄학교 체육 및 무용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연구동향 분석
- 초등 늘봄학교 음악 줄넘기 참여자의 목표 내용이 수업참여와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스포츠활동 비참여 초등학생의 부정정서, 스마트폰의존성, 사회적효능감 간의 관계
- 중국 초등학교 특급 체육 교사의 전문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회적 지지기반 강화를 위한 심리운동 SPE-Modell 적용 고찰
-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한 자원재활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심리운동 활동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