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이용수  4

영문명
Effects of Employment on Self-Esteem i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백지은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발달 장애인이 지각한 취업에 대한 가족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3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15세 이상 성인 발달장애인 971명(자폐성장애 295명, 지적장애 67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self-report)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취업, 가족지지, 상호작용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발달장애인의 취업 여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β=.144, p<.001). 둘째, 지각한 취업에 대한 가족의 지지 또한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β=.097, p<.001), 취업 여부와 자아존중감 간 관계에서 가족지지가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상호작용항 β=.129, p<.01). 셋째, 조절효과를 단순회귀선 분석으로 검토한 결과,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발달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취업 경험과 함께, 당사자가 인식하는 가족의 지지 수준이 중요한 심리·사회적 자원임을 의미하며, 가족의 지지적 태도에 대한 체계적 개입과 고용 연계의 통합적 설계가 필요함을 정책적·실천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employment on the self-esteem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vestigated whether perceived family support moderates this relationship. The study utilized the raw data from the “2023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focused on self-reported responses from 971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5 and older, including 295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676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effects of employment status,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ir interaction on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 statu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β=.144, p<.001). Second, perceived family support regarding employmen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β=.097, p<.001), and i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self-esteem(interaction term β=.129, p<.01). Third, a simple slopes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mployment on self-esteem was stronger among individuals who perceived higher levels of family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th employment experience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serve as critical psychosoci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grated interventions that simultaneously enhance supportive family attitudes and promote sustainable employment opportunities, offering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지은. (2025).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직업재활연구, 35 (1), 1-26

MLA

백지은.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직업재활연구, 35.1(2025):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