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회적 농업 분야의 표준사업장에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ing in Standardized Workplaces in the Social Agriculture Secto 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the Future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지선 한기명 최려나 김지혜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1호, 81~10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저임금을 상회하는 수준의 임금을 제공하는 사회적 농업 분야 표준사업장에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도가 삶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과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미래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적 농업 분야 표준사업장에 근무 중인 발달장애인 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전반적인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발달장애인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직업 안정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단순히 직무 관련 지원에국한되지 않고, 금전관리교육, 경제관념 이해교육, 생애설계 프로그램 등 미래준비를 위한 종합적인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성취가 단기적 만족을 넘어 장기적인삶의 전망과 연결될 수 있도록 사회정책적 관점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overall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ing in standard workplaces in the social agriculture sector, which provides wages above the minimum wage level. The study also sought to deeply verify what mediating effect perception of the future h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with 51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ing in standard workplaces in the social agriculture sector, and the collected data was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high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perceptions of the futur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future amo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for future preparation, including financial management education, economic concept understanding education, and life planning programs, not limited to simply job-related support, to enhance occupational stability and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from a social policy perspective so that the occupational achievement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connect to long-term life prospects beyond short-term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선,한기명,최려나,김지혜. (2025).사회적 농업 분야의 표준사업장에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35 (1), 81-105

MLA

이지선,한기명,최려나,김지혜. "사회적 농업 분야의 표준사업장에 근무하는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직업재활연구, 35.1(2025): 81-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