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 일자리 유형화 및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1
- 영문명
- Latent Profile Analysis of Job Preferences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김호진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1호,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간 노인과 장애인 정책에서 소외되어 온 우리나라 고령장애인의 직업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대안 마련을 지원하고자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 일자리를 잠재프로파일 분석 으로 유형화하고, 선호하는 일자리 유형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장애 특성 및 인적 자본 특성으로 구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2023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8차조사)에서 조사된 고령장애인 638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령장애인의 일자리 선호 유형이 ‘취업중시형’, ‘양질선호형’, ‘환경중시형’으로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고령장애인 집단 내에서의 취업 선호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와 욕구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특히, 여성과 중증의 비율이 높은 ‘환경중시형’의 경우,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고령장애인은 고령과 장애의 교차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두 영역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e up with policy and practical alternatives that can reflect the professional needs of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which have been alienated from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Jobs preferred by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categoriz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preferred job types were examined through multinomial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638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surveyed in the 2023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job preferences for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employment-oriented", "quality preference", and "environment-oriented". As such,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employment preferences within the group of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was suggested that differentiated support is needed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references and needs of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it was derived that in the case of the 'environment-oriented type' with a high ratio of women and severe cases, support for work-family balance i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the intersectionality of old age and dis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grated service that can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reas at the sam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장애인 취업 지원 경험 연구
-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 일자리 유형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