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정신적 장애인의 사회적 농업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ocial Farming Practice Model Utilizing Smart Agriculture for Individuals with Psychosoci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이용표 최영광 안희연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1호, 51~7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정신적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고 있으며, 특히 지속 가능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일자리 창출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직업재활 방안으로 스마트농업 기술을 활용한 사회적 농업의 실천모델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실천적 정책적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농업 및 스마트농업 관련경험이 있는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고, 도시형 및 농촌형 사회적농업의 대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A회사(도시형)와 B회사(농촌형)의 실천 모델이 도출되었으며, A회사(도시형)에서는 도시 내 유휴공간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시스템 도입과 장애인 맞춤형 직무모델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또한, 농업인으로서의 법적 인정과 농업 분야 근로지원인제도 및 관련 교육 도입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B회사(농촌형)에서는 공동 생산 및 판매망 구축과정부 및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스마트농업 모델 구축이 핵심 과제로 도출되었으며, 금융지원제도나 저금리 대출사업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적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모델로서 스마트농업의 가능성을 실천적, 정책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향후 스마트농업 기반 장애인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Psychosocial Disability faces new challenges, with job creation for sustainable economic independence emerging as a critical issu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ocial agriculture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approach for individuals with Psychosocial Disability and proposes practical and policy strategies utilizing smart agriculture technology.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five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social agriculture and smart agriculture, and representative cases of urban and rural social agricult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practical models from Company A (urban) and Company B (rural). For Company A (urban), the need to utilize idle urban spaces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agriculture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tailored job model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as emphasized. Additionally, legal recognition as agricultural workers and the introduction of a support worker system for agriculture, along with related education, were considered crucial. In Company B (rural), the focus was on establishing a joint production and sales network and building a sustainable smart agriculture model through cooperation with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ies. The need for financial support systems, such as low-interest loan programs, was also identified. This study presents the potential of smart agriculture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model for individuals with Psychosocial Disability from both practical and policy perspectives. It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 agriculture-ba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용표,최영광,안희연. (2025).스마트농업을 활용한 정신적 장애인의 사회적 농업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직업재활연구, 35 (1), 51-79

MLA

이용표,최영광,안희연. "스마트농업을 활용한 정신적 장애인의 사회적 농업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직업재활연구, 35.1(2025): 5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