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장애인 취업 지원 경험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xperience of the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 on Employment Support for the User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안중혁 정연수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5권 제1호, 143~1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장애인 취업 지원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그들의 실천적 역할과 직면하는 제약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거주시설 기반 직업재활 실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 및 중증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사회재활 업무수행 경험이 있는 사회재활교사 6명을 유의표집 방식으로 선정하고,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비대면 화상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념화, 하위범주화, 상위범주화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재활교사는 단순한 직업 연계자의 역할을 넘어서 개인별 지원계획 수립, 입·퇴소 및 일상관리, 직업생활 및 자립지원, 생활재활교사 감독, 지역사회 연계 등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거주시설 이용자의 낮은 직업능력과 훈련상황의 열악함 속에서 사회재활교사들은 취업처를 발굴하고, 외부 기관과 협력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셋째, 거주시설 자체 내의 직업훈련공간의 부족, 고령화 및 반복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훈련 지속의 어려움, 높은 취업기준, 낮은 지역사회 수용성 등 구조적 제약으로 인해 직업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며, 그로 인한 사회재활교사의 업무 부담과 소진이 가중되고 있었다. 또한 사회재활교사 간 정보공유나 슈퍼비전 체계가 부재하여 직무 수행에 대한 확신 부족과 고립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거주시설 내 사회재활교사의 취업 지원 업무 활성화를 위해 사회재활교사의 직무 정체성과 역할의 제도적 명확화, 이용자 장애 정도에 따른 종사자 배치기준의 차등화, 저강도 직업훈련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중심의 네트워크 구축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이라는 특수 환경 속에서 지적장애인의 취업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재활교사의 역할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실천적 함의를 찾는데 의의를 두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supporting their employment, analyze their practical roles and the constraints they face,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idential facility-bas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s. For this, six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performing social rehabilitation work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through a deliberate sampling method, and non-face-to-face vide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conceptualization, subcategorization, and supercategoriza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were performing complex and multi-layered tasks such as establishing individual support plans, admission/discharge and daily management, support for career life and independence, supervision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and community linkage, beyond the role of simple job linkers. Second, in the midst of the low job competency and poor training conditions of residential facilities,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were struggling for employment of users and cooperate with external organizations. Third, due to structural constraints such as the lack of job training space with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themselves, difficulty in continuing training due to aging and repetitive lifestyle habits, high employment standards, and low community acceptance, job linkage was not smoothly achieved, and as a result, the work burden and burnout of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were increasing. Fourth, in order to activate the job support work of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al clarification of the job identity and role of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differentiation of staff placement criteria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 of users, development of low-intensity job training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a community-centered network were required.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activate the role of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in charge of employment suppor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 special environment such as a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practical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인 거주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장애인 취업 지원 경험 연구
- 고령장애인의 취업 선호 일자리 유형화 및 영향 요인 분석
- 발달장애인의 취업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