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육교사의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Phenomenological Study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Conducting Ecological Sports Class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고정길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2호, 86~98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체육교사들이 생태형 스포츠 수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현상의 본질과 의미 구조를 심층적으로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 경험이 있는 5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콜라이지(Colaizzi)의현상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체육교사들은 생태형 스포츠 수업이 지닌 교육적가치를 확인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다양화할 기회라고 인식하였다. 이러한 수업은 학생들의 전인적 발달에 기여하며 평생체육으로 연계할 수 있고, 체육수업의 확장을 통해 통합적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둘째,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의어려움으로는 시설 및 장비 부족, 기후 및 시간 관리의 제약, 수업 전문성 및 정보 부족으로 인한 물리· 환경적 제약과 행정적 지원의 미비, 교육과정 운영의 경직으로 인한 행정·제도적 장벽이 도출되었다. 셋째, 생태형 스포츠 수업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위해서는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 형성 및 행정적 지원 강화를 통한 지원체계 구축, 수업 연구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교사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현장 체육교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태적 가치 중심의 체육교육을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지식과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ce and underlying meaning of the phenomena experienced by physical edu- cation (PE) teacher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ecological sports classes. To achieve thi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was employed using Colaizzi’s method, interviewing five P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implementing ecological sports clas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 teachers perceived ecological sports classes as an opportu- nity to reaffirm the education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nd diversify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se classes were per- ceived as promoting students’ holistic development, encouraging lifelong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PE instruction to provide integrated learning experiences. Second, the challenges of conducting ecological sports classes included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such as insufficient facilities and equipment, unexpected weather and time constraints, and insufficient expertise and instructional resources. Additionally,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barriers including inadequate administrative support and the rigid structure of curriculum operation were another limitation. Third, for th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sports classes, establishment of a robust support system is deemed essential by strengthening administrative assistance and fostering local community collaboration networks. Also enhancing teachers’ pro- fessional competencies through cooperative teaching and research initiatives was identified as a crucial factor. In conclusion,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nsights into implementing ecological sports education by drawing on the experiences of PE teach- er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to promote ecological values in PE and ensure the sustain- able operation of ecological sports classes.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정길. (2025).체육교사의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9 (2), 86-98

MLA

고정길. "체육교사의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9.2(2025): 86-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