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민 혐오에 대항하는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역사과교수·학습방안탐색
이용수 26
- 영문명
- History Education for Fostering Citizens Against Immigrant Hatred: Exploring Digital Literac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History Clas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구나연 박민수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9권 제2호, 7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주민 혐오에 대항하는 시민 역량 함양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역사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결과를 분석했다.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확산하는 혐오표현, 특히 조선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담론이 심화하는 현실에서, 역사교육이 어떻게 비판적 사고력과 시민적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지 탐색했다. 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수업에서 3차시에 걸쳐혐오표현의 개념 이해, 조선족 이주에 관한 역사 탐구, 대항표현 제작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역사적 맥락에 기반한 비판적미디어 해석과 시민적 참여를 경험했다. 혐오라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실천적 대응으로 연결하는시도는 교실 현장에서 역사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넓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based history lessons aimed at fostering civic competencies to counter immigrant hate. In response to the growing spread of negative perceptions and discourse about Korean-Chinese (Joseonjok) communities spreading through digital media, the study explored how history education can pro- mote critical thinking and civic engagement. The study implemented a three-session Korean history course with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understanding hate speech concepts, exploring Korean-Chinese migration history, and creating counter-expressions.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engaged in critical media analysis and civic participation within the context of history. This endeavor to comprehend contemporary issues of hate through a historical lens and to establish connec- tions between them and practical responses, the study demonstrates potential to broaden the scope and applicability of history education in the classroom.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논의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주민 혐오에 대항하는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역사과교수·학습방안탐색
- 체육교사의 생태형 스포츠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디지털 기반 음악 수업에 대한 실태 및 인식 조사: 서울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스포츠교육 모형 적용 체육수업 참여 중학생의 수업태도와 책임감 및 집단응집력의 관계
- 한국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미국 STEL의 기술과 중학교 수준 성취기준 비교
- 국내·외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의 재해·재난 교육 프로그램 분석
- Exploring Multi-Level Predictors of Science Achievement in Korea: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pproach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