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이용수 7
- 영문명
- I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lways Maladaptive?: Exploring Adaptive Group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김유니 양수진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1호,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그릿, 개인지향 및 사회지향 성취동기,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바탕으로 잠재 집단을 탐색하고, 정신적 안녕감과 학업적 적응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 19 ~ 25세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 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잠재 프로파일 분석 결과 ‘평균형(44.8%)’, ‘적응적 비사회완벽형(15.9%)’, ‘저자원 취약형(14.7%)’, ‘적응적 사회완벽형(24.6%)’의 4개 잠재 집단이 도출되었다. 각 잠재 프로파일별 결과 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그릿과 개인지향 성취동기,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같은 심리적 자원 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안녕감 및 학업적 적응 수준이 높았다. 특히 ‘적응적 사회완벽형’의 사회적 안녕감이 ‘적응적 비사회완벽형’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저자원 취약형’의 심리적 안녕감은 ‘평균형’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주의 문화인 한국의 대학생들에게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적 안녕감에 긍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 주며, 그릿과 개인지향 성취동기,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보호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latent groups based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SPP), grit, individual-oriented and social-oriented achievement motivation(IOAM and SOA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xamine differences in mental well-being and academic adaptation.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university students aged 19-25.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latent groups: ‘general type(44.8%)’, ‘adaptive non-perfectionism type(15.9%)’, ‘low-resource vulnerable type(14.7%)’, and ‘adaptive perfectionism type(24.6%)’. Analysis of outcome variables across latent profile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grit, IOA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better overall well-being and academic adaptation. Notably, the ‘adaptive perfectionism typ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ocial well-being than the ‘adaptive non-perfectionism type’, while the ‘low-resource vulnerable type’ had significantly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general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P can positively function for social well-being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a collectivistic culture, and that grit, IOAM,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can serve as protective factors.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청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차별 대처전략에 따른 사회정의 관심,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 차이
-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매개효과
-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