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매개효과
이용수 7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Isolation
- 발행기관
- 한국발달지원학회
- 저자명
- 홍명성 송유빈 송경희
- 간행물 정보
-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1호, 2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생(만 19세~28세) 23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 경험회피, 사회적 고립감,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 model 6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 각각의 단순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은 경험회피 혹은 사회적 고립감을 증가시켜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을 낮추었다.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 시기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여,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이 증가된 경험회피를 통해 사회적 고립감과 연결되고, 그로 인해 심리적 안녕감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을 지닌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하여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에 초점을 둔 상담적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iso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peer victimiz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ith 231 undergraduate students (ages 19-28), using scales that measured peer victimization, experiential avoidance, social iso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model 6 showed that both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isolation individu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That is, peer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t increased either experiential avoidance or social isolation, which in turn reduced psychological well-being. A sequential mediation model confirmed that peer victimization during adolescent indirectly affected well-being thorugh elevated experiential avoidance and subsequent social isolation. These study suggest that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focus 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isolation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history of adolescent peer victimization.
목차
방 법
결 과
논 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대 청년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차별 대처전략에 따른 사회정의 관심, 사회정의 실천, 삶의 만족도 차이
- 청소년기 괴롭힘 피해경험과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경험회피와 사회적 고립감의 순차매개효과
-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과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항상 부적응적인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적응 집단의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