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

영문명
Survey on Suspect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huncheongbuk-do Region
발행기관
한국발달지원학회
저자명
정하나 김정민 박은 김예경
간행물 정보
『발달지원연구』제14권 제1호, 39~5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북도 지역의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의 초등학교 학생의 부모 639명을 대상으로 경계선지적 기능 선별 척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학교 내 확률 추출된 학급의 모든 학생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청북도 지역의 경계선지능의심 초등학생의 비율은 16.5%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경계선지능 의심 초등학생의 비율은 남학생의 경우 전체 남학생 중 22%, 여학생의 경우 전체 여학생 중 10.7%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년에 따른 경계선지능 의심 초등학생의 비율은 2학년과 3학년이 각각 21.6%로 가장 높았으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상생활 부적응 문제 영역에 따른 경계선지능 의심 초등학생의 비율은 위험군 학생의 경우 인지 능력 영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잠재군 학생의 경우 성격·정서 영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상군과 경계선지능 잠재군, 위험군 학생에 따라 일상생활 부적응 및 문제 영역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성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suspected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BIF) elementary students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Screening Scale among the parents of 63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cheongbuk-do. A full-scale survey was also conducted on all students in a randomly selected class within the sampled school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with weighted data.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suspected BIF elementary students i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was 16.5%. Second,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22% of male students and 10.7% of female students were identified as suspected BIF,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Third, the proportion of suspected BIF students by grade was highest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21.6%),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grade. Fourth, among the domains of daily maladjustment, the at-risk group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he domain of cognitive functioning, whereas the potential BIF group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in the domain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Fif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maladjustment and domain-specific problem scores were observed among the normal, potential BIF, and at-risk groups, with the most substantial group differences found in the domain of social functio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방 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하나,김정민,박은,김예경. (2025).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지원연구, 14 (1), 39-55

MLA

정하나,김정민,박은,김예경. "경계선지능 초등학생 의심대상자 실태조사: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지원연구, 14.1(2025): 39-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